[사회] ‘수사외압 폭로’ 박정훈 부른 해병특검…尹 복심 강의구도 조사
-
5회 연결
본문

박정훈 해병대 대령이 16일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 특검 사무실에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순직해방 특검(이명현 특별검사)팀이 채 해병 사건 수사 과정에서 외압이 있었다고 폭로한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을 16일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하고 있다. 이른바 ‘VIP 격노설’이 불거진 2023년 7월 31일 당시 상황을 재구성하면서 채 해병 사망 사건 초동 수사기록의 이첩·회수 과정을 검증하기 위해서다.
박 대령은 이날 오후 1시쯤 조사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VIP 격노설’에 대해 설(說)이 사실로 규명이 됐으니 모든 것이 제대로 밝혀질 것”이라며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격노가 시작점이었다”고 밝혔다. 김태효 전 1차장이 VIP 격노설을 인정하는 취지로 진술한 것에 대해선 “결국 진실은 모두 밝혀지고 사필귀정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오는 19일이 채 해병 2주기란 점도 언급했다. 그는 “아직 그 죽음이 왜 일어난 것인지, 죽음에 누가 책임이 있는지 정확하게 규명되지 않는 현실이 답답하다”며 “특검에서 여러 사실을 밝히고 있고, 책임이 있는 자들이 상응하는 법적 책임을 받을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했다.
박 대령은 2023년 7월 31일 오전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법률적 검토가 필요하니 순직해병 사건 관련자 8명의 조사 기록 경찰 이첩을 보류하라’는 취지의 명령을 김계환 전 해병대 사령관으로부터 전달받고도 기록을 경찰에 넘겼단 혐의로 기소돼 1심에서 무죄판결을 받았다. 지난 2일 군 검찰로부터 이 사건을 넘겨받은 순직해병특검은 지난 9일 박 대령에 대한 형사재판 항소를 취하했다. 박 대령은 보직 해임된 지 1년 11개월 만인 지난 11일 해병대수사단장으로 복귀했다.
‘尹 복심’ 강의구 상대로 임기훈과 통화기록 추궁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이 16일 오후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 특검 사무실에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특검팀은 이날 오후 2시 강의구 전 대통령비서실 부속실장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하고 있다. 특검팀은 강 전 실장이 채 해병 사망 관련한 대통령실의 수사개입 여부를 확인할 주요 인물로 보고 있다. 강 전 실장은 VIP 격노설의 진앙지인 2023년 7월 31일 대통령실 국가안보실 외교안보 수석비서관회의에 참석하지 않았지만 참석자였던 임기훈 당시 국가안보실 국방비서관과 회의 당일 6차례 통화한 사실이 드러났다.
특검팀은 임 전 비서관이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에게 ‘VIP 격노’를 전했단 의혹이 불거진 만큼 강 전 실장이 채 해병 사망 사건 수사결과 관련해 안보실과 해병대 간 연결고리 역할을 했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강 전 실장은 지난달 30일 내란 특검 조사에서 ‘사후 계엄선포문’ 작성 및 부서과정을 진술하면서 주목을 받았다. 앞서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 이충면 전 국가안보실 외교비서관, 왕윤종 전 국가안보실 경제안보비서관이 특검 조사에서 VIP 격노설을 인정하는 취지로 진술하기도 했다.
“김용현 전 국방 ‘VIP 격노설’ 회의 참석” 진술 확보
특검팀은 이날 채 해병 순직 수사기록을 이첩받은 뒤 국방부 검찰단으로 기록을 넘긴 최주원 전 경북경찰청장(치안감)도 직권남용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 중이다. 지난해 5월 군인권센터는 채 해병 순직 관련해 최주원 당시 경북청장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고발했다. “최 전 청장이 휘하 경찰관들에게 의무 없는 일을 하게 하는 등 직권을 남용하고, 이첩의 주체인 해병대 수사관들의 적법한 권리행사를 방해했다”는 이유였다. 최 전 청장은 이날 오후 3시쯤 조사에 앞서 “국방부 검찰단의 기록횟수가 적법하다고 생각했나”라는 질문에는 “특검에서 판단할 것”이라고 답하고 특검 사무실로 들어갔다.
한편 특검팀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VIP 격노설’이 불거진 회의에 참석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고 이날 밝혔다. 특검팀은 추후 김 전 장관이 당시 회의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등을 조사할 방침이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