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네이버 XR 플랫폼 연내 출시…AI로 크리에이터 생태계 확장 [팩플]

본문

16일 네이버 1784 사옥 내에 있는 버추얼 콘텐트 특화 스튜디오 ‘비전 스테이지’ 화면에 가상의 우주인 한 명이 등장했다. 스테이지에 서 있던 오한기 네이버 리얼타임 엔진 스튜디오 리더가 화면 속 우주인에게 말을 걸었다. “여기 계신 분들한테 인사 좀 해주세요”“손 하트도 좀 해주시고요” 등 오 리더가 말하자 우주인은 그의 말에 실시간으로 반응하며 인사를 건넸다.

17527356038993.jpg

16일 네이버 직원의 움직임이 실시간으로 캡처되는 모션 스테이지 모습. 사진 네이버

우주인의 정체는 비전 스테이지 옆 ‘모션 스테이지’에서 모션 캡처 장치를 부착한 채 움직이고 있던 네이버 직원이었다. 비전 스테이지는 커머스·예능·영화 등 다양한 콘텐트 주제에 맞춰 생성 AI(인공지능)를 활용해 가상 배경을 제공하고, 모션 스테이지는 이 가상 배경 속 버추얼 크리에이터들의 움직임이나 반응을 모션 캡처로 실시간 반영한다. 오 리더는 “치치직 스트리머들을 대상으로 회차별로 스튜디오 이용 신청을 받는데, 1회차 대비 2회차 신청자 수가 10배 증가했다”고 말했다.

무슨 일이야   

이날 네이버는 ‘이머시브 미디어 플랫폼 테크 포럼’을 열고 비전·모션 스테이지 시연과 함께 치지직 등 자사 영상 콘텐트 플랫폼에 연내 도입할 다양한 AI 기능들을 알렸다. 올해 하반기에는 AI가 영상의 맥락을 이해해 타임라인별 세부 내용 정리, 이용자 추천 기능 등을 제공하는 ‘MUAi’ 플랫폼, 블로그·쇼핑 리뷰 등 텍스트 콘텐트를 영상으로 생성해주는 ‘오토클립Ai’를 공개해 크리에이터들이 쉽게 영상 콘텐트를 제작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김성호 네이버 이머시브 미디어 플랫폼 리더는 “텍스트가 강점인 네이버 UGC(이용자 창작 콘텐트) 기반에서 한층 더 풍성한 영상 콘텐트 생태계로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2019년 출시한 라이브 스트리밍 앱 프리즘 라이브 스튜디오에 담긴 기술도 소개했다. 모바일 만으로 3D 아바타 기반 라이브 방송을 안정적으로 송출할 수 있는 기술력과, 라이브 방송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AI 스크립트 기능 등이 담긴 프리즘 라이브 스튜디오 앱에서는 하루 평균 약 13만 건의 라이브가 생성되고 있다.

17527356041227.jpg

김성호 네이버 이머시브 미디어 플랫폼 리더가 16일 네이버의 미디어AI 기술과 방향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네이버

이게 왜 중요해 

최근 구글·메타·애플 등 글로벌 빅테크들이 스마트폰 다음 디바이스로 주목하고 있는 건 스마트글래스나 헤드셋 류의 XR(확장현실) 기기 시장이다. 구글의 경우 지난 5월 연례 개발자 행사(I/O)에서 삼성전자·젠틀몬스터 등과 협업해 개발 중인 XR 헤드셋과 스마트글래스 시제품을 공개한 바 있다.

네이버가 미디어 AI 기술을 고도화 해 자체 콘텐트 크리에이터 생태계를 강화하려는 이유도 이 흐름과 연결돼 있다. XR 전용 콘텐트 시장에 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서다. 이날 네이버는 올해 하반기에 안드로이드XR 기반의 콘텐트 플랫폼도 론칭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와 구글이 개발 중인 XR 기기 ‘무한 프로젝트’에 참여 중이라는 소식도 전했다.

빅테크들이 주로 XR 하드웨어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네이버는 그 안에 들어갈 콘텐트 제작에 집중한다는 전략이다. 영상 콘텐트를 더 간편하게 제작·관리할 수 있는 각종 AI 기능을 도입해 콘텐트 크리에이터들의 진입 문턱을 낮추려는 것도 전략의 일환이다. 오한기 리더는 “네이버가 보유하고 있는 여러 가지 미디어 AI 기술과 이를 바탕으로 한 사용자 경험들이 쌓이면 XR 시장이 대중화 됐을 때 빠른 속도로 네이버의 경험을 이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더중앙플러스 : 팩플

자세한 기사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기사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이해진 왜 병원 갔다 대만 갔나…글로벌 어벤저스 5인의 미션
새 정부 출범 이후 네이버는 가장 뜨거운 IT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허나 다윗이기만 했던 과거와 달리 이제 국내에선 골리앗이기도 하다. 더구나 네이버 출신들이 정부 요직을 줄줄이 차지한 상황. 여러 변수가 엮인 복잡한 고차방정식을 풀기 위한 해법으로 네이버는 글로벌 비즈니스를 내세우고 있다. 이해진 의장은 실리콘밸리 행사에서 “다윗이 골리앗을 이기려면 돌멩이 하나를 잘 던져야 한다”며 “지금은 돌멩이를 잡는 과정”이라 말했다. 이해진 의장은 어떤 글로벌 비즈니스를 ‘다윗의 돌멩이’로 고를까. 돌멩이를 만드는 주역은 누구일까. 불기둥 네이버 주가는 지속 가능한 걸까. 이해진 2기 글로벌 공략에 나서는 네이버의 모든 것을 샅샅이 들여다봤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51362

스테이블코인, 나대면 찍힌다? ‘3000만 대군’ 네이버페이 진격
미국발(發) 스테이블코인 붐은 태평양을 훌쩍 건너 한국 여의도부터 판교까지 뜰썩이게 하고 있다. 당장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논의에 불이 붙었다. 발빠른 금융·IT 기업들은 자본력과 기술력, 시장 지배력 등을 앞세워 물밑 접촉을 시작했고, 스테이블코인의 ‘스’자만 붙어도 기업 가치가 요동치고 있다. 과연 한국에도 스테이블코인 시대가 도래할까? 그렇다면, 누가 한국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헤게모니를 쥘 관상일까.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51948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44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