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월군뉴스] [속보]이재명 “김문수·이준석 후보 본색대로 단일화할 것”

본문

"경제 문제를 이념적으로 갈라치거나 정책을 친중으로 모는 극우 색깔 관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25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5.5.25

대선 사전 투표(29∼30일)가 나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는 25일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와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가 결국 단일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는 이날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 후보는 결국 뉴라이트이고, 이 후보도 국민의힘 대표를 지냈고 (당내 경쟁에서) 밀려나왔을 뿐, 스스로 나왔다고 보기 어렵다”며 “결국 다시 합쳐서 보수 정당의 주도권을 갖고 싶어하는 만큼 이번 기회에 본색대로 단일화할 것” 이라고 했다.

이어 “더구나 더 큰 미끼도 있는 것 같다”며 국민의힘과 개혁신당의 ‘단일화 거래 의혹’도 문제 삼았다.

이 후보는 “(김 후보가 이 후보에게) 당권을 준다든지 이길 경우 총리직을 내줄 것이란 이야기도 있다고 들었는데 저도 그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또 “경제 문제를 이념적으로 갈라치거나 정책을 친중으로 모는 극우 색깔이 관찰되고 있다”며 “결국은 단일화할 것이고 우리는 단일화에 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후보는 이어 "이제 4일 후면 사전투표도 시작된다. 투표해야 여러분의 소중한 삶과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지킬 수 있다. 투표해야 6월 3일 국민 여러분이 승리한다"면서 투표 참여를 독려했다.

이 후보는 "여러분의 손으로 진짜 대한민국의 문을 활짝 열어달라"면서 "위대한 국민 여러분의 힘으로 우리가 꾸는 꿈을 함께 현실로 만들어 가자"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이번 대선의 주인공은 저 이재명이 아니라 주권자인 여러분으로, 정치는 정치인이 하는 것처럼 보여도 결국 국민 여러분이 한다"며 "변화와 희망이 넘치는 나라를 원한다면 반드시 투표해달라"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25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5.5.25

앞서 이 후보는 "제가 국민의 선택을 받게 되면 가장 먼저 대통령이 지휘하는 '비상경제 대응 TF'를 구성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산적한 과제를 풀어갈 준비된 후보와 정당만이 삼각파도의 위기를 넘어설 수 있다"며 "즉시 실행 가능한 민생경제 대책을 신속히 마련해 '불황과 일전을 치른다'는 일념으로 내수 침체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통상 파고와 글로벌 안보 환경 변화가 민생경제를 위기로 몰아넣는 상황에서 벼랑 끝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을 살리고 성장엔진을 재가동해야 한다"며 "정부가 나서서 효율적인 경기 진작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후보는 "지난 3년간 대통령이 분열을 조장하고 극단적 대립을 심화시켜 우리에게는 씻지 못할 깊은 상처가 남았다"면서 "서로를 미워하고 제거하려는 정치를 끝내고, 공존과 소통의 문화를 되살리는 게 민주주의 복원의 지름길"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는 "권력을 남용한 정치보복의 해악을 누구보다 잘 아는 제가 분열의 정치를 끝낼 적임자 아닌가"라며 "대한민국 체제와 국민 생명을 위협한 내란 세력의 죄는 단호하게 벌하되 특정인을 겨냥한 정치 보복은 결단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대립과 갈등의 정치가 만들어낼 악순환의 고리를 반드시 끊겠다"고 했다.

아울러 "경제를 살릴 수 있다면, 국민을 위한 일이라면 이념과 진영을 가리지 않고 실행하겠다"며 "이재명 정부의 유일한 인사 기준도 '능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주요 공직자 국민 추천제를 활성화해서 국민이 추천한 인재가 국민을 위해 봉사하도록 할 것"이라면서 "국민 주권이 일상적으로 실현되고 국정에 반영되도록 '국민 참여 디지털 플랫폼'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갈등이 첨예한 현안에 대해서는 의제별 공론화위원회를 구성해 사회적 대타협을 통한 문제 해결의 사례들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견제와 균형의 원리가 제대로 작동할 때 민주주의가 굳건해질 것"이라며 "비상계엄 국회 통제 강화, 대통령 거부권 제한, 국무총리 국회 추천제, 검찰·경찰·방송통신위원회 등에 대해 국회 임명 동의 절차를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2,769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