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시뉴스] 춘천·영월 드론특별자유화구역 신규 지정… 드론 실증 환경 확대
본문

춘천과 영월이 신규 드론 특별자유화구역으로 지정됐다.
국토교통부는 29일 드론 산업의 서비스 모델 상용화를 촉진하고, 기술 실증 기반 확대를 위해 춘천과 영월 등 9개 지자체(18개 구역)를 제3차 드론특별자유화구역으로 지정했다.
이로써 드론특별자유화구역은 1·2차 지정까지 총 전국 32개 지자체(총67개 구역)로 확대됐다.
강원은 2021년 지정된 원주를 비롯해 이번에 신규 지정된 춘천과 영월까지 3개 지자체로 늘었다.
드론특별자유화구역은 비행승인, 특별비행승인, 안전성 인증 등 드론 비행 규제 6종을 면제하거나 간소화는 제도로 지자체의 안전관리를 전제로 드론 비행을 허용할 수 있는 지역이다.
이를 통해 민간 기업은 실험실에 머무르지 않고, 실제 환경에서 드론을 활용해 자유롭게 실증 할 수 있다.
이번 제3차 드론특별자유화구역 지정에서는 도심, 농촌, 해양, 산림 등 다양한 공간에서 드론 기술의 실증과 상용화를 촉진하고, 규제 문턱 없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드론 서비스를 현실화하는 데 중점을 뒀다.
춘천(2개 구역)은 드론 레이싱코스 개발, 3D 디지털 트윈 기반 드론 관제를, 영월(1개 구역)은 드론 핵심부품 MRO 데이터 분석, 드론 안전장치 개발 등을 주로 실증할 방침이다.
이미 지정된 원주(2개 구역)에서는 등검은말벌 방제, 산림 방역, 응급 의료물자 배송 실증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국토교통부 주종완 항공정책실장은 "드론특별자유화구역 제도를 통해 민간이 주도적으로 시제품·서비스를 실증하고, 정부는 과감하게 규제를 열어주는 방식으로 신산업 혁신을 견인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앞으로도 실증에 걸림돌이 되는 경직된 규제를 규정과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개선하고, 현장 수요에 기반한 규제 특례 적용을 확대해 드론이 국민 실생활에 기여하는 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