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시뉴스] 北김정은, 中 열병식 참석…'한미일vs북중러' 복잡해진 한반도 셈법
본문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다음달 3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승전 80주년 기념 열병식에 참석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함께할 예정이어서 향후 한반도와 동북아시아 정세 변화에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북한은 28일 김 위원장이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제2차세계대전) 승전 80돌 기념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곧 중국을 방문한다고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밝혔다.
중국 측도 이날 김 위원장을 포함한 외국 국가 원수 및 정부 수뇌 26명이 승전 기념행사에 참석한다고 발표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비롯해 베트남, 라오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몽골, 파키스탄, 네팔,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벨라루스, 이란 등의 정상이 기념행사에 참석 예정이며 한국의 우원식 국회의장도 이 명단에 포함됐다.
중국은 내달 3일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항일전쟁 승전 80주년 기념식을 성대한 외교 이벤트로 치를 예정이다.
시 주석의 연설과 함께 자국산 신형·현역 무기를 과시하는 열병식이 펼쳐지게 된다.
김 위원장은 시 주석, 푸틴 대통령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톈안먼 광장 성루에 서서 전세계의 시선을 한 몸에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북중러 정상이 한자리에 모이는 자체가 탈냉전 이후 처음인데다 이재명 대통령이 한일·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핵 문제를 포함한 북한 문제 대응을 위한 한미일 협력을 강조한 직후인만큼 관심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정부 들어 한미일 협력이 더욱 강조되고 있음을 보여준 상황이어서다.
이에 맞서 중국은 이 대통령이 미국 방문 일정을 마치자마자 승전 80주년 열병식에 북러 정상의 참석을 공개함으로써 한미일 협력의 강화 흐름에 북중러 협력으로 맞불을 놓는 모양새가 됐다.
사실 그동안 중국과 북한은 소원한 관계를 이어왔다. 중국은 대북제재라는 국제적 규범을 준수하려는 모습을 보이면서 북한과 경제, 사회 교류를 최소한으로만 이어왔다.
그러던 중 북한은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전투병 파병과 북러 조약 체결 등을 통해 러시아와 동맹관계를 맺으며 북러 관계를 가속함으로써 중국의 역할을 대체할 뒷배를 마련했다. 그러자 중국은 북한과 다양한 외교채널을 복원하고 교류를 늘려감으로써 과거의 관계를 되살려가고 있다.
일각에서는 오히려 이번 김정은 위원장의 방중이 북미대화를 촉진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최종건 연세대 교수는 "중국과 북한이 관계를 회복하는 것은 한반도 문제를 풀어가는데 오히려 좋은 신호일 수 있다"며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러시아를 통해 의사를 전달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중국이 창구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