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취임 후 100일 만에 코스피가 사상 최고점인 3395.54을 찍었다. 지난 12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에서 직원들이 증시를 살피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25.8%. 이재명 대통령 취임 후 100일간 코스피 상승률이다. 코스피는 10…
지난 7월 30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거래소에서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 현판식이 열렸다. 맨 왼쪽은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연합뉴스 ‘청담동 주식부자’로 알려진 A씨는 2000억원대 주식 이용 범죄(사기적 부정거래 등)를 저지른 혐의로 2020년 징…
지난 10일 대전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열린 '2025 혁신창업국가 대한민국 국제포럼'에서 수상기업 발표가 진행되고 있다. 김경록 기자 ‘코스피 5000 시대’를 맞이하기 위해 필요한 건 뭘까. 통상 주가를 결정짓는 요인은 기업의 펀더멘털(실적 …
전문가들이 귀띔한 향후 1년 포트폴리오 경제+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서학개미’들이 올해도 꾸준히 매집에 나서면서 해외주식 보관액이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국내 개인투자자의 해외주식 보관액은 지난 8월 8일 200조원을 넘어섰고 이달 9일 1…
29일부터 무비자 입국 유통업계가 ‘유커 맞이’에 분주하다.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들이 롯데마트 제타플렉스 서울역점에서 쇼핑하고 있다. [사진 롯데마트] 롯데면세점 직원들은 지난 10~12일 2박 3일간 중국을 찾아 발로 뛰었다. 이달 말부터 무비…
한국의 자동차 대미 수출액은 4월에는 28억9000만 달러였지만, 8월에는 15억8000만 달러로 줄었다. 사진은 지난달 24일 평택항에서 대기 중인 수출용 차량들. [연합뉴스] 미국에서 한국 자동차의 가격경쟁력이 일본에 뒤처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
미국 정부의 기습 단속으로 무더기 구금된 대기업과 협력사 직원이 단속 8일 만에 한국으로 무사 귀환했지만 여진은 계속되고 있다. 대(對)미 투자를 늘리기로 한 한국 기업은 비자부터 장기 투자까지, 사업 전략의 궤도 수정에 들어갔다. 10대 그룹 계열사 중 삼성전자…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2년 만에 대만에 추월당할 전망이다. 14일 정부와 대만 통계청 등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7430달러로 대만(3만8066달러)에 못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 2003년 1만5211달러로 처음 대…
코스피가 연일 고공행진 중인 가운데 30대 그룹의 시가총액도 연초 대비 600조원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화와 HD현대는 ‘100조원 클럽’에 새롭게 진입했다. 14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에 따르면 30대 그룹 상장사 219곳의 시총은 올해 1월 …
금리 수퍼위크 개막 이번 주는 주요 중앙은행이 금리 결정을 내리는 ‘수퍼위크’다. 주인공은 미국이다. 세계 경제에 파급력이 큰 미국이 올해 첫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면서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취임 이후 사실상 첫 인하다. 14일(현지시…
이달 들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이 감소세로 돌아섰다. 수도권 주담대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한 ‘6·27 대출 규제’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평가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11일 기준 5대 은…
이억원(사진) 신임 금융위원장은 취임과 동시에 난제에 직면했다. 조직개편을 둘러싼 혼란을 수습하는 동시에 배드뱅크와 가계부채 등 산적한 과제를 해결해야 하기 때문이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2일 이 위원장에 대한 임명안을 재가했다. 이 위…
국산·수입 차등지급 딜레마 이재명 대통령이 중국산 전기버스에 대한 보조금 문제를 잇달아 언급하면서 전기차 보조금 차등지급 논의가 제기되고 있다. 국내 산업 보호를 위해 수입산 전기차보다 국내산에 더 많은 보조금을 줘야 한다는 논리인데, 현실성 측면에서 쉽지 않…
중국 정부가 미국산 아날로그 반도체 칩에 대해 반덤핑 조사에 착수했다. 오는 14일(현지시간) 스페인에서 열릴 4차 무역협상을 앞두고 미·중 간 샅바 싸움이 한층 격화되고 있는 모양새다. 중국 상무부는 13일 홈페이지에 “지난 7월 23일 장쑤성 반도체산업협회가 …
청소년 안전 위협하는 AI 미국 정부·당국이 친구(companion)처럼 대화하는 ‘인공지능(AI) 챗봇 서비스’로부터 미성년자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잇달아 내놓고 있다. 국내에도 청소년들의 AI 챗봇 서비스 이용이 늘어나는 만큼 안전강화 조치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