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구 청담동에 이전·리뉴얼한 구찌 오스테리아 서울. 사진 구찌 명품 브랜드 구찌가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 레스토랑을 연다. 2일 업계에 따르면 구찌는 오는 4일 청담 플래그십 매장 5층에 레스토랑 ‘구찌 오스테리아 다 마시모보투라 서울’을 오픈…
넥스트증권 로고. 사진 넥스트증권 넥스트증권은 글로벌 증권사 임원을 이사회 일원으로 영입했다고 2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넥스트증권은 지난달 29일 주주총회를 열고, 데이비드 프리드랜드 인터랙티브브로커스(IBKR) 아시아태평양총괄(사진)을 기타비상무이사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지난달 24일 오후 서울 강서구 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에서 한미 정상회담 경제사절단 동행을 위해 미국으로 출국하고 있다. 뉴스1 올해 상반기 국내 대기업 오너 일가의 자산가치가 33조원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리더스인덱스는 2일 …
경기 성남시 한글과컴퓨터 본사 전경. 사진 뉴스1 최근 인공지능(AI)업계에서 데이터 확보 경쟁이 치열해진 가운데, AI 학습을 위한 전자 문서 양식을 두고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무슨 일이야 1일 한국저작권위원회에 따르면 글로벌 AI 학습용 데이터 …
예전에는 좋아하는 음악을 듣기 위해 음반 가게를 찾아가 앨범을 고르거나, 라디오 DJ가 선곡해 주는 곡을 기다려야 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다릅니다. 스트리밍 앱을 켜면 나의 취향에 맞춘 수많은 곡이 자동으로 재생되죠. 검색하지 않아도 ‘내가 좋아할 만한 음악’이 바로…
추천! 더중플 – AI 마스터 클래스 오늘의 ‘추천! 더중플’은 대표적인 생성 AI 서비스 챗GPT와 클로드 활용법을 소개합니다. 단순히 기능을 나열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상·업무·학업·창작에 어떻게 접목해 생산성을 올릴 수 있는지 실전 활용법을 알려드립니다. 두…
회사를 다녀도 돈이 든다. 하루에 식비와 교통비로 2만원씩 쓰고 월 200만원 벌어서는 택도 없다. 그냥 집에서 쉬면서 조금 더 아껴 쓰는 게 낫다 스트레스가 사람들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넘는다. 기대치에 비해 열악한 일자리가 정말 많다 1일 고용노…
서울 삼성동 다쏘시스템 한국지사에 있는 '3D익스피리언스 이그제큐티브 서울 센터'에 마련된 버추얼 트윈 솔루션 화면. 김효성 기자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 핵심 과제 가운데 하나는 스마트조선소의 현지 구축 여부다. 미국 내…
국내 조선업계가 한·미 양국의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에 발맞춰 북미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미국 정부가 조선업 재건을 목표로 대규모 상선·군함 발주 계획을 발표하자. 발 빠르게 대응…
전기 수요 폭증할 ‘AI 심장’…한국의 현주소는 경제+ “새로운 데이터센터를 위한 최적의 장소를 드디어 찾아냈습니다!” 네이버는 2023년 4월 1일 달 표면에 우주 최대 규모의 데이터센터 ‘각 문(GAK MOON)’을 짓겠다는 영상을 공개했다. 물론 만우절 이벤트성…
대우조선해양은 2016년 세계 최초로 쇄빙과 LNG 운반을 동시에 하는 ‘쇄빙 LNG선’을 바다에 띄웠다. [사진 한화오션] 지난달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인사를 마치자마자 조선업 얘기…
노후준비 커지는 관심 KB국민·신한·하나·우리금융 등 4대 금융그룹이 각 사별로 시니어 브랜드를 론칭하고, 이른바 ‘시니어 머니’를 공략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60세 이상 고령층의 순자산이 약 4307조원에 이를 정도로 커졌기 때문이다. 1일 금융권에 따…
지난달 한국의 대미(對美) 수출이 5년3개월 만에 가장 많이 줄며, 올해 처음으로 두 자릿수 감소율(12.0%)을 나타냈다. 지난 7월30일 한·미 양국은 한국의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내리는 무역협정에 합의했지만, 이로 인한 피해는 이제 시작이라는 우려가…
SK하이닉스의 ‘성과급 1000%’ 상한선이 폐지된다. 당장 내년에 직원 성과급이 1인당 1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 노사는 이날 오전 임금·단체협상(임단협) 교섭에서 ‘2025년 임금교섭 잠정합의안’을 마련했다. 이에 따르면 올해 임…
고물가의 영향으로 식료품·음료 등 먹거리 소비(실질 소비지출)가 9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으로 줄었다. 폭염·폭우 등 이상기후와 가공식품 가격 인상까지 겹친 영향으로 풀이된다. 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가구의 식료품·비주류음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