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제공=듀라셀코리아) 듀라셀 건전지는 정부의 민생 회복 특별 지원 정책 시행에 발맞춰 듀라셀 건전지 취급 점포를 통해 특별 할인 캠페인을 전개한다고 밝혔다. 해당 특별 할인 캠페인은 9월 30일까지 실시 예정이며 기존 대비 최대 40%~50% …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 사진 국민연금공단 1200조원이 넘는 국민의 노후 자금을 굴리는 국민연금공단(NPS)의 연차보고서가 정작 주인인 국민이 이해하기에 불친절하고 핵심 정보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세계적인 연기금들이 연차보고서를 통해 투자 전략, 위험 …
초읽기에 몰리던 ‘관세 협상’의 막판 타결을 이끈 것은 한·미 조선 산업 협력 프로젝트인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였다. 미국 조선업 부흥을 위해 한국의 자본과 기술력을 투입하겠다는 구상이 도널드 트럼프…
클래시스·휴젤·파마리서치의 글로벌 도약 경제+ 전 세계적인 K뷰티 바람을 타고 K미용기기의 수익률이 고공행진 중이다. ‘SOL 의료기기소부장Fn’ 상장지수펀드(ETF)의 올해 수익률은 34.1%(7월 30일 기준)에 달한다. 머니랩은 K뷰티테크로 범주가 넓어진 K미…
정부가 3년 전 내렸던 법인세를 다시 올린다. 올해까지 3년 연속 세수 펑크가 확실해진 상황에서 세입 기반을 정비해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금융·보험업 교육세를 인상하고, 증권거래세를 0.2%로 되돌리기로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정부는 31일 이런 내용을 담은 ‘…
31일 백악관이 한국과의 관세 협상 타결을 알리며 공식 X(옛 트위터) 계정에 게시한 사진. 한·미 양국은 이날 한국이 미국에 4500억 달러(약 627조원)를 투자하는 등의 조건으로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는 데 합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과 무역협상…
31일 타결된 한·미 관세 협상은 미국이라는 거대 소비시장을 놓칠 수 없는 한국 입장에서는 처음부터 내줄 수밖에 없는 협상이었다. 협상의 데드라인(8월 1일)이 정해진 와중에, 15%라는 하한선이 미리 정해져 있어서다. 한국보다 먼저 협상을 마친 일본과 유럽연합(EU)…
업종별 전망-반도체 삼성전자가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건설 중인 반도체 공장 전경. [사진 삼성전자] 한·미 관세 협상 결과에 반도체 업계는 “수출 불확실성이 해결됐다”(반도체산업협회)며 일단 환영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도 “한국 반도체가 …
업종별 전망-조선 한·미 관세 협상이 타결된 31일 한 시민이 경남 거제의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을 바라보고 있다. [뉴스1] 1500억 달러(약 209조원) 규모의 조선업 펀드, 일명 ‘마스가(MASGA) 프로젝트’는 정부가 “양국 합의에 가장 크게 …
업종별 전망-자동차·철강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오른쪽)이 3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주미대사관에서 한·미 통상 협의 결과 브리핑을 하고 있다. 왼쪽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구 부총리는 이 자리에서 “한·미가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재계 총수들은 이번 관세 협상 타결에 숨은 조력자였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등 반도체·자동차·조선 등 한국 주력 산업을 이끄는 대기업 총수들은 양국의 협상이 진행 중인 미국 워싱턴DC에 집결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
한·미 관세 협상 과정에서 미국 측 요구 조건 중 하나였던 한국의 ‘고정밀 지리 데이터 반출’ 문제가 협상 결과에 포함되지 않자, 국내 맵테크(map+tech)업계는 일단 안도하는 분위기다. 다만 한·미 정상회담 등 후속 일정이 남아 있는 만큼 논의 과정을 지켜봐야 한…
정부는 배당소득 분리과세를 도입하기로 결정했지만, 당초 시장이 기대하던 수준에선 후퇴했다. 이와 함께 대주주 양도소득세 기준이 강화되고, 증권거래세가 0.2%로 인상되면서 시장에서는 “코스피 5000에 역행한다”는 불만의 목소리가 크다. 31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세제…
이형일 기획재정부 차관이 지난달 29일 정부 세종청사에서 2025년 세제개편안 상세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기획재정부] 앞으로는 자녀가 많을수록 연말정산 때 신용카드 사용분 공제액이 늘어난다. 지방으로 이전해 고용을 늘리는 기업에 대한 세금 감면도…
‘노란봉투법’에 대한 경제계의 반대가 더욱 거세지고 있다. 산업 생태계를 뿌리째 흔들고 경영권을 침해한다는 이유에서다. 이재명 정부가 강조하는 ‘실용적 시장주의 정부’ 기조와도 상충하고, 한·미 관세협상에 따라 향후 진행될 대미 투자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