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37점으로 V리그 남자부 통산 득점 1위에 오른 현대캐피탈 레오. [사진 한국배구연맹] 프로배구 현대캐피탈의 ‘쿠바 특급’ 레오나르도 레이바 마르티네스(35·등록명 레오)는 지난 12일 대전 충무체육관에서 열린 V리그 남자부 삼성화재전에서 18득점을 …
미국 코오롱티슈진 본사에서 한 연구원이 골관절염 세포유전자 치료제 TG-C의 1액과 2액 샘플을 들어 보이고 있다. 김형구 특파원 “약이 없어서 고생하시던 관절염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제를 제공할 수 있다는데 의학적으로 큰 자부심을 갖고 있습니다.” …
8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열린 ‘SXSW’(사우스 바이 사우스웨스트) 레드카펫 행사에 참석한 배우 벤 애플렉. AP=연합뉴스 유명 할리우드 배우 벤 애플렉(53)이 수백만원짜리 신발을 사달라는 10대 아들을 훈육하는 모습이 포착돼 화제가 …
우크라이나군. AP=연합뉴스 핀란드가 13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에 2억 유로(약 3160억원) 상당의 추가 무기 지원을 발표했다. AP 통신 등은 이날 핀란드와 우크라이나가 추가 무기 지원 패키지를 포함한 방위협력 양해각서에 서명했다고 보도했다. …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궁 보좌관. AFP=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외교정책 보좌관이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합의한 '30일간 휴전' 방안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미국 측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타스·리아노보스티 통신에 따르면 유리 우샤코프 …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일본 총리가 위기를 맞았다. 집권당인 자민당 보수파를 중심으로 “총재 선거를 다시 하자”는 불만이 터져 나오는 가운데 이시바 총리가 올봄 자민당 초선 의원들에게 상품권을 건넸다는 일본 언론들의 보도가 쏟아지면서다. 옛 아베파를 중심으로 불거진 자…
제주의 한 폐업 숙박업소에서 부패된 시신이 발견됐다. 13일 제주동부경찰서에 따르면 전날 오후 8시 14분쯤 제주시 일도동 소재 한 폐업 숙박업소 건물 지하 1층에서 시신이 발견됐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발견 당시 시신은 부패가 상당히 진행된 상태였으며, 신분…
노조의 벽에 막힌 M&A 메리츠화재해상보험이 MG손해보험 인수에서 손을 떼기로 했다. 결국 청산 절차를 밟는다면 124만 명의 보험계약자가 원금 손실 등 피해를 떠안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3일 메리츠금융지주는 자회사인 메리츠화재가 MG손보 매각과…
시장 주도권 싸움 치열 LS전선의 동해공장에서 생산된 해저 케이블이 포설선에 선적되는 모습. LS전선은 지난 2008년 강원도 동해에 국내 최초의 해저케이블 공장을 설립했다. [사진 LS전선] LS전선과 대한전선의 특허침해 소송 2심에서 LS전선이 승소…
‘피지컬 AI’ 시대 성큼 명령 한마디에 로봇이 알아서 전기 콘센트를 찾아 꽂고, 지퍼백을 닫는다. 종이접기로 여우를 만들고, 도시락을 싼다. 구글 딥마인드가 공개한 로봇 특화 인공지능(AI) 모델을 적용한 로봇의 모습이다. 로봇 스스로 상황을 판단해 행동하는…
중국 이커머스 업체 테무를 둘러싼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개인정보 과잉 수집에 이어 엉터리 태극기 판매 논란까지 불거졌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13일 소셜미디어(SNS)에 “테무와 알리익스프레스 등을 검색해보니 디자인이 잘못된 태극기 상품이 다수 발견됐다”…
한화오션이 국내 조선사 중 처음으로 미국 해군 함정 유지·보수·정비(MRO) 사업을 완료했다. 미국이 해군력 강화를 위해 노후 군함 정비에 속도를 내는 상황이어서 국내 조선업체의 추가 수주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한화오션은 13일 미 해군 군수지원함 ‘월리…
립부 탄 CEO 인텔이 말레이시아 출신 신임 최고경영자(CEO)를 선임하며 제품·기술·조직문화에 대대적인 변화를 예고했다. 12일(현지시간) 인텔 이사회는 립부 탄(65) 전 케이던스 회장을 새 CEO로 임명했다고 밝혔다. 말레이시아에서 태어나 싱가…
한국은행이 경기 방어에 비중을 두겠다며 기준금리 추가 인하를 시사했다. 지난해부터 내수 부진이 이어지고 있는 데다 수출마저 비상등이 켜져서다.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 최악으로 치닫는 경우 올해와 내년 성장률 모두 1.4%에 그칠 수 있다는 암울한 전망도 재확인했다. …
정유업계 친환경 사업 확대 국내 정유업계가 바이오 연료 생산과 수출을 늘리면서 관련 투자도 확대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이 올해부터 유럽에서 이륙하는 항공기에 최소 2%의 지속가능 항공유(SAF)를 혼합 사용할 것을 의무화는 등 바이오 연료 시장이 본격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