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경찰 함정 내에서 술을 마시고 출동 기간 중 오징어낚시를 한 등의 비위 행위를 이유로 해임된 해경 함장에 대해 법원이 징계가 과도했다며 해임 처분을 취소해야 한다는 판단을 내렸다. 14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행정법원 행정5부(이정원 부장판사)는 최근 A씨가 해…
울산지법. 연합뉴스 주인 없는 빈집과 식당에 들어가 라면을 끓여 먹은 노숙인에게 실형이 선고됐다. 울산지법 형사3단독 이재욱 부장판사는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절도) 혐의 등으로 재판에 넘겨진 60대 A씨에게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했다고 지…
지난 8일 제주 우도 한 해변에 중국 국기가 태극기와 나란히 꽂혀 있는 모습. 사진 스레드 캡처 제주 우도의 한 해변에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가 설치됐다가 철거되는 일이 벌어졌다. 지난 13일 스레드와 엑스 등 소셜미디어(SNS)에는 관광객이 우도 한…
1957년 10월 소련(현 러시아)이 세계 최초 우주 탐사선인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해 전 세계를 놀라게 했습니다. 냉전 시대, 다양한 분야에서 경쟁하던 미국과 소련은 우주 탐사 분야에서도 치열한 경쟁을 벌였죠. 미국은 아폴로 11호를 보내 인류 최초로 달에 직접 발걸…
경비함정에서 음주·낚시·고스톱 등을 한 해경 함장을 해임 처분한 해양경찰청에 대해 해임을 취소하라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 함장의 비위 사실은 인정되지만 공무원 신분까지 박탈하는 징계는 과도하다는 취지에서다. 서울행정법원 5부(부장판사 이정원)는 전직 해경 A씨가 해양경…
서울 서초구 대법원 청사. 연합뉴스 충실한 복약지도 없이 전화로 한약을 주문받고 이를 택배로 배송한 한약사의 행위는 약사법 위반이라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다. 14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1부(주심 신숙희 대법관)는 최근 약사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
7월이 되니 정말 여름이란 계절이 실감이 납니다. 나날이 무덥고 쨍쨍한 날이 계속되다 보니 선풍기에 에어컨을 켜고 틈만 나면 얼음이 담긴 음료수를 찾게 되네요. 식물 역시 너무 더운 날씨는 힘이 듭니다. 햇빛을 받아 광합성을 하는 데에는 좋지만 건조해지면 수분 확보가 …
12·3 비상계엄과 관련해 특검의 수사를 받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두 번째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를 받기 위해 지난 9일 오후 서울 서초구 중앙지방법원으로 출석하고 있다. 뉴스1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재구속된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14일 출석해 …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달 26일 서울 종로구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 뉴스1 '보좌진 갑질' 의혹이 불거진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사직한 보좌진의 재취업을 방해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직장 내 괴롭힘을 넘어 근로기…
뉴스1 대전에서 60대와 40대 모자가 집에서 숨진 지 20여일 만에 발견됐다. 13일 대전서부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9일 서구 한 아파트 관리사무소에서 “집에서 이상한 냄새가 난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강제 개방한 집 방안에서는 60대 어머니와 40대 …
김태효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이 “윤석열 전 대통령이 크게 화내는 걸 들었다”며 ‘VIP 격노설’의 실체를 확인하면서 구명로비 의혹 수사가 급물살을 타게 됐다. 김 전 1차장의 진술을 확보한 순직해병 특검팀(특별검사 이명현)은 임기훈 당시 안보실 국…
이선우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회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12일 대한의사협회에서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한 입장문을 발표하고 있다. ‘동맹 휴학’에 나선 지 약 1년5개월 만이다. 왼쪽부터 박주민 국회 보건복지위원장, 이 비대위원장, 김택우 의협회장, 김영호 국회 교…
김준호(오른쪽)·김지민의 웨딩촬영 사진. [사진 김지민 SNS] 코미디언 김준호(49)와 김지민(41)이 13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 호텔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김준호와 SBS ‘미운 우리 새끼’ ‘신발 벗고 돌싱포맨’ 등에 함께 출연…
지난 12일 요코타 부지사가 경남 합천 한국 원폭 피해자 위령각을 찾아 참배하고 있다. 안대훈 기자 “80년 동안 한국인 피폭자 여러분이 받은 고통을 오늘 더욱 깊이 느꼈습니다. 피폭자 여러분께서 지금까지 걸어오신 고통스러운 그 길들, 존엄과 경외의 마음…
2011년 ‘아랍의 봄’은 시리아 국민들에게도 새로운 바람이었다. 튀니지, 이집트 등의 정권이 무너지자 시리아 국민들도 변화를 바라는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이들은 정치 개혁과 자유,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며 거리로 뛰쳐나왔다. 정권은 권위적이었다. 시위대를 향해 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