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역 기피 논란으로 23년째 한국 땅을 밟지 못하고 있는 가수 스티브 유(한국명 유승준)가 미국에서 태진아와 만났다. 인스타그램 캡처 병역 기피 논란으로 23년째 한국 땅을 밟지 못하고 있는 가수 스티브 유(한국명 유승준)가 미국에서 태진아와 만났다. …
최근 리모델링 재개관한 서울 명동 신세계백화점 본점의 '더 헤리티지'는 1935년 건립된 옛 조선저축은행 건물의 원형을 보존하면서 현대적으로 개보수했다. 1층은 샤넬 부티크 매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사진 샤넬 트위드 카펫이 깔린 샤넬 매장에 들어서자 진열장 속 제…
#풍경1 : 보수파의 반격이 시작됐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 미사가 끝나기도 전이었다. 독일의 뮐러 추기경이 “프란치스코 교황 같은 자유주의 지도자를 선출하면 교회가 분열될 위험이 있다”며 곧 있을 콘클라베(교황 선출 위한 추기경단 회의)를 겨냥했다. 같은 독일 출신…
왼쪽부터 이 영화의 주인공인 아타, 코우, 톰, 유타, 밍. 다섯 친구는 졸업을 앞두고 누구보다 치열하게 우정을 나눈다. 사진 영화사진진 동아리방에서 밤새 함께 음악을 듣다 해가 뜰 때쯤 집에 가며 “이따 보자, 사랑해”라고 말하는 친구들이 있다. 영화 …
보이그룹 클로즈 유어 아이즈는 JTBC '프로젝트7'을 통해 결성돼 데뷔부터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때론 그런 생각들이 들곤 해/ 언어도 채 없었던 순간/ 최초의 말은 ‘사랑해’였을지 몰라.” 보이그룹 클로즈 유어 아이즈(CLOSE YO…
이미자는 26, 27일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콘서트를 끝으로 공연 개최 및 음반 발매를 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사진 쇼당이엔티 “공연 준비에 온정신을 쏟고 있습니다. 언제나처럼 연습도 하고 리허설도 다를 것 없이 합니다.” 66년간 국민가수로 살아온 …
“미국의 집은 모두 돌이나 벽돌로 지어 불길이 부근의 다른 곳까지 번질 걱정이 없다.” - 초대주미공사 박정양이 미국을 시찰·견문하고 쓴 기록 『미속습유』(1888) 중에서 7월13일까지 덕수궁 돈덕전서 특별전 #건축에 맞춰 바뀐 왕실 생활·외교 조명 #정관헌…
김성칠 교수의 일기는 1993년 〈역사 앞에서〉란 제목으로 창비에서 출간됐다. 이 일기는 1945년 11월 29일자 뒤쪽부터 남아 있었는데, 그 앞의 일기가 사라진 것으로 보였다. 유물을 보관하고 있던 필자의 아들 김기목(통계학·전 고려대) 교수가 사라진 줄 알았던 일…
임주환 원장 ‘치아 요정들의 만찬’, 2025 현대미술 작가이자 치과보철과 전문의로 활동하고 있는 천안 프라임치과의원 임주환 원장의 개인전 ‘모듈 하모니(Module Harmony)’가 오는 4월 26일부터 5월 31일까지 천안 리각미술관에서 개최된다. …
사진 영화 ‘빛과 몸’ 한국 독립영화 ‘빛과 몸’이 47회 모스크바국제영화제에 공식 초청돼 23~24일 성황리에 상영됐다. ‘빛과 몸’은 한국계 미국인 입양아 한나(차지원)가 춘천에서 깨어나며 자신과 닮은 실종 전단지를 발견하게 되고, 50년 전의 과거를 …
『자하 신위, 경계를 넘는 예술가』|최나욱 지음|그래파이트온핑크|208쪽 건축을 전공한 젊은 작가가 조선 후기 문인 ‘자하 신위(紫霞 申緯)’를 조명한 책을 출간해 눈길을 끌고 있다.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과거 인물에 대한 탐구서를 펴낸 점에서 이례적인…
윤준혁 오키오 라운지 브랜드 총괄은 "내 취향을 담은 문화예술 커뮤니티를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오키오 라운지(OKIIO LOUNGE)’는 설립 2년 만에 대표적인 패션의 도시인 미국 뉴욕, 이탈리아 밀라노를 사로잡았다.…
책표지 홍콩백끼 손민호ㆍ백종현 지음 중앙북스 50여일 홍콩에 머무르면서 130곳 넘는 식당에서 500가지 이상의 음식을 맛본 끝에 추린 맛집 100곳. 지은이들은 “매일 1만5000보를 걷고, 1600장 넘는 사진을 찍으며 하루 평균 예닐곱 끼를 맛봤다”…
책표지 부서지는 아이들 애비게일 슈라이어 지음 이수경 옮김 웅진지식하우스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사립고교생 노라는 친구들 중에 ‘털뽑기장애’라 불리는 발모벽, 해리성정체성장애, 투렛증후군을 가지고 있는 아이들이 있다고 말했다. 활달하고 밝은 10대 소녀로…
책표지 왜 좋은 일자리는 늘 부족한가 이상헌 지음 생각의힘 헌법 제32조는 ‘모든 국민은 근로의 권리를 가진다’라고 규정했지만 현실은 일자리, 특히 ‘좋은 일자리’가 부족해 권리를 누리기가 쉽지 않다. 왜 그럴까 노동경제학자로 현직 국제노동기구(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