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시/정보] 강릉시 명주동의 문화재
게시글 신고 안내
- 아래 내용중 해당하는 내용이 있을경우 아래 게시글신고 버튼을 클릭하시고 사유를 작성해주시면 빠른시간 안에 삭제및 필요조치하여 드리겠습니다.
- 로그인후 이용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답변은 메뉴 아이러브강원 > 1:1문의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 자신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 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내용
- 범죄행위와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는 내용
- 다른 회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내용
- 타인의 개인정보, 사생활을 침해하거나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 자신의 글을 타인이 도용한 경우
- 위의 내용 이외에 기타사항
본문
안녕하세요?
제가 초5인데요
우리고장의 문화재를 수집해보기가 있어요~
제 고장은 강릉 명주동입니다! 많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56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 다래 님의 최신글
- 다래 님의 최신댓글
-
Q&A - 중앙시장에 많이 있어요 아니면 반곡동 아이파크아파트 뒤쪽에 트렁크라는 창고형 보세옷 매장이 있는데 싸게 살수 있어요~2025-05-01
-
유머 - 개콘 1000회인데 김준호 없으니까 안타깝더라2025-04-30
-
유머 - 저게 범죄면 당구치는 모든 인간들 범죄자다!!!2025-04-30
-
유머 - 그래 1ㅂ2ㅇ서 자기꿈이 개콘1000회때까지 하는거 라던데...2025-04-30
-
Q&A - 세종은 행정 수도로서 발전 중에 있는 도시입니다. 모두 새것입니다. 때문에 전통적인 상식의 번화가라고 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많습니다. 천안, 군산(군산은 전북입니다), 홍성 중에 가장 큰 도시는 천안이며, 군산과 홍성과는 비교도 되지 않습니다. 천안은 읍면을 제외하고 시내 도심이 두루 발전하였으며 그 중 두정동, 신부동, 쌍용동 등이 사람들이 가장 몰리는 곳입니다.2025-04-30
-
Q&A - 강약약강 종특들말 못하는 약한 동물 때려대던데2025-04-29
-
Q&A - 아니여??????강아지 떄리는거 동물학대입니다..2025-04-29
-
Q&A - 안그러는게 좋아요... 성분이 순하면 모르겠지만 .. 일반 시중에있는샴푸는 독성이 강한성분들.. 특히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가 대부분 들어있구, 피부에 아주 자극적이니 얼굴에는 쓰지않아야해요2025-04-28
-
Q&A - 중앙시장에 많이 있어요 아니면 반곡동 아이파크아파트 뒤쪽에 트렁크라는 창고형 보세옷 매장이 있는데 싸게 살수 있어요~2025-05-01
-
유머 - 개콘 1000회인데 김준호 없으니까 안타깝더라2025-04-30
-
유머 - 저게 범죄면 당구치는 모든 인간들 범죄자다!!!2025-04-30
-
유머 - 그래 1ㅂ2ㅇ서 자기꿈이 개콘1000회때까지 하는거 라던데...2025-04-30
-
Q&A - 세종은 행정 수도로서 발전 중에 있는 도시입니다. 모두 새것입니다. 때문에 전통적인 상식의 번화가라고 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많습니다. 천안, 군산(군산은 전북입니다), 홍성 중에 가장 큰 도시는 천안이며, 군산과 홍성과는 비교도 되지 않습니다. 천안은 읍면을 제외하고 시내 도심이 두루 발전하였으며 그 중 두정동, 신부동, 쌍용동 등이 사람들이 가장 몰리는 곳입니다.2025-04-30
-
Q&A - 강약약강 종특들말 못하는 약한 동물 때려대던데2025-04-29
-
Q&A - 아니여??????강아지 떄리는거 동물학대입니다..2025-04-29
-
Q&A - 안그러는게 좋아요... 성분이 순하면 모르겠지만 .. 일반 시중에있는샴푸는 독성이 강한성분들.. 특히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가 대부분 들어있구, 피부에 아주 자극적이니 얼굴에는 쓰지않아야해요2025-04-28
SNS
댓글목록 1
메리츠윤현님의 댓글
(강원도 강릉시 명주동의 문화재)
1.칠사당
종 목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7호
지 정 일 1971.12.16 소 재 지 강원도 강릉시 경강로 2045 (명주동 38-1) 시 대 조선시대
조선시대에 7가지 공무(호적·농사·병무·교육·세금·재판·풍속)를 보았던 관청건물이다.
처음 세운 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조선 인조 10년(1632)에 다시 지은 뒤, 영조 2년(1726)에 크게 확장하였다. 고종 3년(1866)에는 진위대의 청사로 쓰였으나, 불에 타 없어지고 부사 조명하가 이듬해에 다시 지었다. 일제시대부터 1958년까지 군수나 시장의 관사로 사용되다가 1980년에 다시 옛 모습을 되찾았다.
앞면 7칸·옆면 3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ㄱ자형 구조로 앞면 왼쪽에 본 건물보다 높은 누마루를 연결하였다. 누마루 연결부분에는 다락방을 두었고 본 건물 왼쪽 1칸에는 온돌방을 설치하였다. 가운데 3칸은 대청마루를 두고 온돌방과 툇마루를 좌우에 두어 대청마루와 연결시켰다.
칠사당은 전체적으로 뒤의 산세와 조화를 이루고 있는 건물이다.
2.강릉읍성
종 목 비지정문화재
소 재 지 강원도 강릉시 명주동, 성내동, 용강동 일대 시 대 조선시대
강원도 강릉시 성내동, 명주동, 용강동 일대에 있는 조선시대 강릉부의 행정성(行政城)이다. 《세종실록지리지》의 1452년에는 ‘읍토성’으로 불려진 토축 산성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동국여지승람》에는 둘레 632.4m, 높이 1.2m의 토축과 둘레 41.7m, 높이 0.6m의 석축 산성으로 기록되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1512년(중종 7)에 석성으로 고쳐 쌓았고, 문을 4곳에 두었으며 우물이 14곳, 연못이 2곳이며 성의 둘레가 1,134.6m로 기록되어 있다.
성의 평면 형태는 전체적으로 마름모꼴을 하고 있으며, 전체 면적은 약 209,355㎡ 이다. 서북쪽의 벽은 내탁식으로 축조하였으며, 남동쪽의 벽은 내외협축 방식으로 축조하였다. 현재 성벽은 대부분 허물어지고 동북쪽 벽에 해당하는 15m 가량의 성벽이 천주교임당성당 동쪽에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