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군/정보] 강원도 고성군의 문화재
게시글 신고 안내
- 아래 내용중 해당하는 내용이 있을경우 아래 게시글신고 버튼을 클릭하시고 사유를 작성해주시면 빠른시간 안에 삭제및 필요조치하여 드리겠습니다.
- 로그인후 이용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답변은 메뉴 아이러브강원 > 1:1문의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 자신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 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내용
- 범죄행위와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는 내용
- 다른 회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내용
- 타인의 개인정보, 사생활을 침해하거나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 자신의 글을 타인이 도용한 경우
- 위의 내용 이외에 기타사항
본문
저가 강원도 고성군에대해서 문화재를 잘 모르거든요....
좀가르쳐 주세요.
빠른답변 부탁드립니다.
61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 코리 님의 최신글
- 코리 님의 최신댓글
-
Q&A - 안녕하세요정규 교육원 소속 정규멘토 최민재입니다.청소년상담사3급 준비과정을 선정함에어려움을 겪고 계시기에 도움을 드릴게요저라면 청소년상담사3급 응시자격을먼저 준비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이 됩니다.그 이유는 청소년상담사3급 시험은 언제든지시작하고 싶은 시기에 준비할 수 있지만청소년상담사3급 응시자격의 경우일정 기간을 투자해야하기 때문입니다.질문자분의 최종학력을 알지는 못하지만만약 청소년상담사3급 응시자격이 안될경우고졸 기준으로 평균 4년~5년이 걸립니다.따라서 청소년상담사3급 응시자격을하루빨리 먼저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2025-05-19
-
Q&A - 안녕하세요아무도 몰라요답변이 도움 되셨다면 "포인트로 감사"로 마음을 전해 주세요^^2025-05-13
-
Q&A - 사귀는걸로 보이네요2025-05-13
-
Q&A - 모를거 같은데여.???자기소개서 같은거에 본인이 적지 않은이상 모를거같은데요??그리고 개인정보라서 교수라도 함부로 알지못할거같습니다. 공부 조금 못하는건 쪽팔린게 아님니다.왜냐하면 본인의 부족함을 알고 있기 그것을 채우고 개선하려고 하면 충분이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괜찮습니다.본인이 공부를 못 하는데 공부 못 하는걸 모른채 생각없이 사는게 더 쪽팔리다고 생각합니다.공부 못한다면 공부외에 다른 할 수 있는 일을 미리 고민해 둬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앞 날에 대한 아무런 고민없이 사는게 더 쪽팔리다고 생각합니다.2025-05-08
-
Q&A - 안녕하세요~ 전문학습설계사 옹달쌤입니다^^사회복지사2급 자격증 취득방법이 궁금하셔서질문해주셨는데요!!지금부터 답변으로 도와드리겠습니다!!우선 사회복지사2급 자격증 취득 조건은전문학사 이상의 학위+필수 17과목 이수로볼 수 있습니다!!필수과목은 온라인16과목+실습1과목으로이루어져있구요~이렇게 두 가지를 이수하시면 사회복지사2급 자격증을 취득하실 수 있는데요!!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해드리자면최종학력이 고졸이신 경우전문학사 학위를 취득하시면서 필수 17과목도 이수하셔야 합니다!최종학력이 전문대졸 이상이신 …2025-04-28
-
Q&A - 4인이상 집합금지입니다2025-04-26
-
Q&A - [답변]거리두기 3단계 이상부터는 백신 인센티브 적용되지 않습니다.직계가족 모임도 인원제한에 들어가게 됩니다.현재 인원은 인원제한 위반 입니다 ㅜㅜ거리두기 단계벼 내용 확인하세요.2025-04-26
-
Q&A - 안녕하세요정규 교육원 소속 정규멘토 최민재입니다.청소년상담사3급 준비과정을 선정함에어려움을 겪고 계시기에 도움을 드릴게요저라면 청소년상담사3급 응시자격을먼저 준비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이 됩니다.그 이유는 청소년상담사3급 시험은 언제든지시작하고 싶은 시기에 준비할 수 있지만청소년상담사3급 응시자격의 경우일정 기간을 투자해야하기 때문입니다.질문자분의 최종학력을 알지는 못하지만만약 청소년상담사3급 응시자격이 안될경우고졸 기준으로 평균 4년~5년이 걸립니다.따라서 청소년상담사3급 응시자격을하루빨리 먼저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2025-05-19
-
Q&A - 안녕하세요아무도 몰라요답변이 도움 되셨다면 "포인트로 감사"로 마음을 전해 주세요^^2025-05-13
-
Q&A - 사귀는걸로 보이네요2025-05-13
-
Q&A - 모를거 같은데여.???자기소개서 같은거에 본인이 적지 않은이상 모를거같은데요??그리고 개인정보라서 교수라도 함부로 알지못할거같습니다. 공부 조금 못하는건 쪽팔린게 아님니다.왜냐하면 본인의 부족함을 알고 있기 그것을 채우고 개선하려고 하면 충분이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괜찮습니다.본인이 공부를 못 하는데 공부 못 하는걸 모른채 생각없이 사는게 더 쪽팔리다고 생각합니다.공부 못한다면 공부외에 다른 할 수 있는 일을 미리 고민해 둬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앞 날에 대한 아무런 고민없이 사는게 더 쪽팔리다고 생각합니다.2025-05-08
-
Q&A - 안녕하세요~ 전문학습설계사 옹달쌤입니다^^사회복지사2급 자격증 취득방법이 궁금하셔서질문해주셨는데요!!지금부터 답변으로 도와드리겠습니다!!우선 사회복지사2급 자격증 취득 조건은전문학사 이상의 학위+필수 17과목 이수로볼 수 있습니다!!필수과목은 온라인16과목+실습1과목으로이루어져있구요~이렇게 두 가지를 이수하시면 사회복지사2급 자격증을 취득하실 수 있는데요!!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해드리자면최종학력이 고졸이신 경우전문학사 학위를 취득하시면서 필수 17과목도 이수하셔야 합니다!최종학력이 전문대졸 이상이신 …2025-04-28
-
Q&A - 4인이상 집합금지입니다2025-04-26
-
Q&A - [답변]거리두기 3단계 이상부터는 백신 인센티브 적용되지 않습니다.직계가족 모임도 인원제한에 들어가게 됩니다.현재 인원은 인원제한 위반 입니다 ㅜㅜ거리두기 단계벼 내용 확인하세요.2025-04-26
SNS
댓글목록 1
충주댁님의 댓글
(강원도 고성군의 문화재)
1.고성 건봉사 능파교
종 목보물제1336호
지 정 일 2002.02.06
소 재 지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건봉사로 723 (냉천리 36)
시 대 조선시대
고성 건봉사의 대웅전 지역과 극락전 지역을 연결하고 있는 무지개 모양의 다리로, 규모는 폭 3m, 길이 14.3m, 다리 중앙부의 높이는 5.4m이다.
사적기에 따르면 건봉사는 신라 법흥왕 7년(서기 520년)에 아도 스님에 의해 원각사라는 이름으로 창건되었다. 이후 신라 말 도선 국사가 중수한 뒤 절의 서쪽에 봉황새 모양의 돌이 있다고 하여 서봉사라 하였으며, 고려 공민왕 7년(1358년)에는 나옹 스님이 중수하면서 다시 건봉사라 이름하였다.
다리의 중앙부분에 무지개 모양의 홍예를 틀고 그 좌우에는 장대석으로 쌓아서 다리를 구성하였는데, 홍예는 하부 지름이 7.8m이고 높이는 기석의 하단에서 4.5m이므로, 실제 높이는 조금 더 높다.
조선 숙종 34년(1708)에 건립된 경내 불이문 옆의 '능파교신창기비'에 의하면 이 다리가 숙종 30년(1704)부터 숙종 33년(1707)사이에 처음 축조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후 영조 21년(1745)에 대홍수로 붕괴되어 영조 25년(1749)에 중수하였고, 고종 17년(1880)에 다시 무너져 그 석재를 대웅전의 돌층계와 산영루를 고쳐 쌓는데에 이용하기도 하였다.
규모가 비교적 크고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다리로, 축조연대와 건립자 등을 알려주는 비석을 갖추고 있어 홍예교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2.고성 육송정 홍교
종 목보물제1337호
지 정 일 2002.02.06
소 재 지 강원도 고성군간성읍 해상리 1041
시 대 조선시대
고성군 간성읍 해상리와 탑현리의 경계에 있는 다리로, 하천의 폭이 12.3m 정도 되는 곳에 석축을 쌓고, 길이 10.6m의 다리를 놓았다. 현재 보존을 위해 다리 윗면에 목교(폭 3m)가 가설되어 있다.
홍예의 기초는 자연지형을 잘 활용하여 동쪽은 암반(높이 1.7m)을 그대로 이용하여 그 위에 홍예돌과 비슷한 크기의 장대석으로 1단의 지대석(높이 30㎝)을 두었다. 서쪽에서는 3단의 지대석을 쌓은 후 그 위에 홍예를 올렸는데, 1단에 2개씩의 장대석을 이어서 만들었다. 서쪽 지대석의 높이는 1단이 묻혀 있어 정확히 알 수 없으나 2단이 70㎝, 3단이 60㎝로 매우 거대하다.
건립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능파교와 함께 을축년(1745년)의 대홍수로 붕괴되었던 점을 고려할 때 능파교(1704년)와 비슷한 시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1748년에 편찬된 《간성군읍지》에 육송정홍교가 언제 만들었는지 알 수 없다고 기록되어 있어 능파교보다 더 오래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자연지형을 잘 이용하여 축조한 단칸 홍예교로, 보존상태도 양호하고 조선시대 석조 다리의 아름다운 조형미를 잘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