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항만공사 인권경영위원회 울산항만공사는 이해관계자의 인권리스크 관리를 위해 실시하던 인권영향평가를 객관성과 전문성 강화 차원에서 외부평가를 도입해 추진키로 했다. 울산항만공사(UPA)는 15일(수) 오전 공사 11층 항만위원회실에서 ‘2025년 제…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장이 16일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열린 의료계 현안 관련 김택우 의협회장 주재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가 김택우 신임 회장과 함께할 새 집행부 구성을 완료했다. 의협은 전공의·의대생과 같은 의…
무안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19일 만에 사고 현장에 대한 수색작업이 사실상 종료됐다. 유가족들의 요청에 따라 추가 수색을 마친 수습당국은 향후 유족들의 뜻에 따라 재수색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16일 전남경찰청에 따르면 군·경찰·소방 등 수습당국은 대규모 인력을…
지난해 태국 언론이 한국인 관광객을 살해하고 파타야 저수지에 시신을 유기한 혐의를 받는 한국인 용의자의 신원을 공개했다. 사진 더 네이션 캡처 지난해 태국에서 한국인 관광객을 납치·살해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일당 3명에게 중형이 선고됐다. 이들은 처음 …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14일 오후 서울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규제 풀어 민생 살리기 대토론회'에서 시민의 의견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 서울시] 도심공원에서 문화·예술행사가 열리면 푸드트럭 영업을 할 수 있고, 건축물 상부에 공원을 조성해도 기부채납으…
지난해 11월 서울 여의도 증권가 모습. 연합뉴스 올해 7월부터 해외주식형 등 ‘TR ETF(상장지수펀드)’에서 발생한 이자‧배당수익에 대해서도 해마다 세금을 내야 할 전망이다. ‘미국S&P500TR’을 비롯한 해외주식형 TR ETF는 국내 순자산이 6조…
세계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위탁 생산) 기업인 대만의 TSMC가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로이터 세계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위탁 생산) 기업인 대만의 TSMC가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인공지능(AI) 칩 수요 증가로 인해 3나노미…
16일 오전 인천 중구 상상플랫폼에서 열린 비야디(BYD) 승용 브랜드 론칭 행사에서 조인철 BYD 코리아 승용사업 부문 대표(왼쪽), 류쉐량(劉学亮) BYD 아시아태평양 자동차 영업사업부 총경리(가운데), 딩하이미아오(丁海苗) BYD 코리아 대표(오른쪽)가 자세를 취…
크래프톤 CI ㈜크래프톤(대표 김창한)은 16일에 진행된 사내 소통 프로그램 ‘크래프톤 라이브 토크(KRAFTON LIVE TALK, 이하 KLT)’에서 2025년 경영 전략과 중장기 계획을 발표했다. 이날 113회를 맞이한 KLT에서는 김창한 크래…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6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뉴스1 한국은행이 금리 인하 페달에서 잠시 발을 떼고 숨고르기에 들어갔다. 당초 ‘계엄 쇼크’에 경기 하강 위험이 커지면서 지난해 10월ㆍ11월에 이어 3연속 인하…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4월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영수회담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를 맞이하며 악수한 뒤 배석하는 당대표 비서실장 등과 인사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올들어 공개 외부 일정을 잡지 않았다. 지난…
16일 국회에서 열린 '제2의 친위쿠데타와 내란 방지를 위한 정책토론회'. 채현일 민주당 의원실 제공 국회에서 16일 내란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한 정책 토론회가 열렸다. 1987년 헌법 개정 이후 역사 속으로 사라진 줄 알았던 ‘계엄’이 실제 선포된 만큼…
국민의힘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정조준한다. 체포된 윤석열 대통령과는 일정한 거리를 두면서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두고 국민의 ‘반(反)이재명’ 정서를 자극한다는 전략이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가 15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입장해 이재명 대표에게 인사하…
국민의힘이 16일 더불어민주당의 ‘내란 특검법’에 맞서 외환죄와 내란선전죄 등을 제거한 자체 ‘계엄 특검법’을 당론 발의하기로 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긴급 의원총회에 참석해 윤석열 대통령 체포에 관해 발언하다 잠시 말을 잇지 못하고…
정부가 트럼프 2기 미 행정부와 본격적인 협의 채널을 조기에 구축, 비핵화 로드맵 등 대북 정책을 긴밀히 조율하겠다고 밝혔다. 외교·통일·국방·보훈부 등 외교·안보 분야 4개 부처는 16일 새해 업무보고 성격인 '2025 주요 현안 해법회의'를 열었다. 정상외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