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뻥튀기 상장’ 논란에 휩싸인 팹리스(반도체 설계) 기업 파두와 상장 주관사 NH투자증권 관계자들이 검찰에 넘겨졌다. 금융감독원 자본시장특별사법경찰(특사경)은 매출 급감 사실을 숨기고 기업가치를 부풀려 상장한 파두와 NH투자증권 관계자들에 대해 자본시장법 위반 …
지난해 말 기준으로 금융자산이 10억원 이상인 ‘부자’는 46만1000명으로 조사됐다. 22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의 ‘2024 한국 부자 보고서’에 따르면, 이는 한국 전체 인구의 0.9%에 해당한다. 전년 대비 부자 증가율은 1%에 그쳤다. 해당 집계를 시작…
계엄 그 주, 카드사용 급감 12·3 비상계엄 직후 전국 17개 시·도가 일제히 지갑을 닫았다. 계엄 사태가 서울뿐만 아니라 국내 곳곳의 지역경제까지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2일 통계청의 속보성 빅데이터 통계인 나우캐스트 지표를 보…
한계 상황 몰린 서민들 장기간 이어진 고금리와 경기 침체 파고에 빚을 못 갚고 채무조정에 나선 서민이 올해 역대 최대에 이를 전망이다. 저신용·저소득자를 위한 서민대출 연체율도 1년 사이 2배로 치솟았다. 22일 이정문 의원실(더불어민주당)이 신용회복위원…
유럽 동남부 국가인 알바니아에서 내년부터 최소 1년간 동영상 플랫폼 틱톡이 전면 금지된다. 에디 라마 알바니아 총리는 “1년 동안 전 국민에게 틱톡을 완전 차단하겠다”고 21일(현지시간) 밝혔다. 알바니아의 틱톡 차단 조치는 지난달 14세 남학생이 소셜미디어(SN…
달러당 원화 가치가 1450원대로 치솟으면서 먹거리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내 식품·외식업계는 원재료를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고환율이 장기화하면 가격 인상이 불가피한 구조다. 22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발표…
차업계 기회의 땅 인도 기아는 22일 첨단 사양과 스마트 커넥티비티 시스템을 갖춘 콤팩트 SUV ‘시로스’를 인도에서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고 밝혔다. [사진 기아] 세계 자동차 시장이 수요 정체로 시계제로에 빠지면서 완성차 업체가 인도로 몰리고 있다. …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과 글로벌 경영 불확실성이 겹치며 배터리 업계가 잇달아 비상 경영 체제로 전환하고 있다. 미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으로 경영 불확실성이 커지자 허리띠를 졸라 매 ‘배터리 보릿고개’를 넘겠다는 각오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
3기 신도시 공급 확대 하남 교산지구 3기 신도시. [연합뉴스] 건설 경기 침체로 내년부터 주택 공급 부족 우려가 커지자 정부가 3기 신도시 공급 물량을 늘리고 있다. 3기 신도시는 인천계양·부천대장·하남교산·고양창릉·남양주왕숙 등 서울과 인접한 수도권…
한남4구역 재개발 수주전에서 삼성물산은 ‘래미안 글로우힐즈 한남’(조감도 위)을, 현대건설은 ‘디에이치 한강’을 내걸었다. [사진 각 사] 서울 용산구 보광동 ‘한남4구역’ 재개발 사업 시공권을 두고 맞붙은 업계 1·2위(시공능력평가 기준) 삼성물산 건설…
신한금융그룹은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주관하는 ‘희망 2025 나눔캠페인’에 이웃사랑성금 160억원을 전달했다고 22일 밝혔다. 보이스피싱 피해자 지원 사업 200억원, 온누리상품권 100억원 기부를 포함해 신한금융의 이웃사랑성금 누적 기부액은 1924억원에 이른다. 진옥…
미국에서 귀국한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이 22일 인천공항 입국장에 들어서고 있다. [뉴시스] “(트럼프 측근들과 만나) 대한민국은 저력이 있는 나라니 믿고 기다려 달라고 했다.” 미국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을…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22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에게 “24일까지 ‘내란·김건희 특검법’을 공포하라”며 “하지 않으면 즉시 책임을 묻겠다”고 압박했다. 헌정 사상 첫 총리 탄핵을 추진하겠다는 의사를 내비친 것이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
국민의힘이 ‘내란·김건희 특검’ 재의요구권(거부권) 건의와 헌법재판관 임명, 비상대책위원장 인선을 두고 3중 딜레마에 빠졌다. 특검법엔 반대하지만 거부권 요청에는 신중하고,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헌법재판관 임명에 반대해도 “장관은 임명해야 한다”고 하는 등 국…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취임을 앞두고 북·러가 군사 거래의 속도를 가속화하는 조짐이 포착됐다. 22일 국회 국방위원회 강대식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북·러 간 군사 협력 동향과 관련한 질의에 국방정보본부는 “최근까지 북한 나진항 등을 통해 러시아로 반출한 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