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딩플레이션' 시대, 우리 커플의 현명한 결혼 예산 분배법

본문

아끼고 또 아껴 모은 적금 통장을 열어보던 순간, 요즘 신조어 하나가 귓가를 스칩니다. “웨딩플레이션”. 결혼 준비 비용이 물가 상승률을 뛰어넘어 치솟는 시대, 로맨스만으로는 예산이 버티지 못하는 현실이죠. 그렇다고 사랑의 결혼식을 숫자로만 볼 수는 없는 법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감성도 지키고, 지갑도 지키는 결혼 예산 분배법을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 예산의 ‘골든 서클’ 만들기

웨딩플레이션 시대에는 예산부터 세우는 것이 아니라 가치 기준부터 세워야 합니다. 두 분이 결혼식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를 “필수–핵심–조절 가능” 3단계로 나눠보세요.

  • 필수 영역: 절대 양보 못 하는 부분(예: 가족 사진, 드레스 퀄리티, 하객 식사).

  • 핵심 영역: 잘 고르면 큰 만족을 주는 부분(예: 메이크업 원장 지정, 스냅 작가).

  • 조절 가능 영역: 예산 절감을 시도해볼 수 있는 부분(예: 식전 영상, 부케, 폐백 음식 등).

이 기준이 생기면, 정보가 많아도 흔들리지 않는 결혼 준비가 가능합니다.


■ 지출을 줄이는 대신 ‘명확히 선택’하는 전략

요즘 웨딩플레이션 체감 포인트는 서울웨딩박람회, 스드메, 웨딩홀, 스냅·영상, 한복과 예물까지 전방위로 퍼져 있습니다. 이럴 때 필요한 건 ‘싼 것’이 아니라 ‘현명한 우선순위’입니다.

  • 스드메의 경우, 원장 지정은 신부의 컨디션과 만족도를 크게 좌우하므로 예산을 투자할 만한 핵심 항목입니다.

  • 반면 식전 영상이나 부케, 청첩장 등은 가성비 높은 대안이 무궁무진합니다. 템플릿 활용, 셀프 제작, 대여 서비스 등으로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죠.

“다 해야 한다”는 공식은 없습니다. 두 사람의 취향과 스토리를 살리는 선택이 비용 대비 만족도를 극대화합니다.


■ 가전·신혼집 예산은 ‘시나리오’로

결혼식 비용만큼 빠르게 오르는 것이 신혼살림 비용입니다.

  • 최소 시나리오: 필수 가전 + 최소 가구 구성

  • 표준 시나리오: 실생활 편의 중심 구성

  • 프리미엄 시나리오: 신혼 감성 + 장기 사용 기준

세 단계를 비교하면 충동 구매를 막고, 선물·축의금 유입 후 예산 조정 여지도 생깁니다.


■ 감성까지 아끼면 후회가 남습니다

무조건 절약만 추구하면 결혼 준비 과정이 피곤해집니다. 결혼식은 인생의 한 장을 여는 날이죠. 그래서 추천하고 싶은 건, 하나의 ‘럭셔리 스팟’을 두는 것. 드레스, 예복, 신혼여행 중 단 한 곳이라도 “정말 잘했다!” 싶은 소비를 해두면 전체 만족도가 올라갑니다.


웨딩플레이션 시대라고 해서 결혼의 설렘이 줄어들 필요는 없습니다. 중요한 건 트렌드가 아니라 두 사람만의 결혼 기준을 세우는 일입니다. 사랑과 현실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예산 분배법으로, 결혼 준비 여정을 ‘힘든 숙제’가 아닌 ‘우리다운 선택’의 시간으로 바꿔보시길 바랍니다.


서울웨딩박람회일정 확인하기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7,980 건 - 1 페이지
댓글 제목
댓글0
댓글0
댓글0
댓글0
댓글0
댓글0
댓글0
댓글0
댓글0
댓글0
댓글0
댓글0
댓글0
댓글0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