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변기 물 내릴 때 오염물 92㎝ 튀어 올랐다" 연구 결과 깜짝

본문

17461529680155.jpg

유한킴벌리는 2일 변기 물을 내릴 때 발생하는 비산 물질이 최대 92㎝ 높이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밝혔다. 사진 유한킴벌리

유한킴벌리는 국민대학교 연구팀과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를 통해 변기 물을 내릴 때 오염물의 흩어지는 작은 입자인 비산 물질이 최대 92㎝ 높이까지 상승할 수 있으며 이는 화장실 내 위생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2일 밝혔다.

유한킴벌리는 국민대와 ‘화장실 변기 물 내림에 의한 비산 물질의 오염 특성 연구’를 주제로 한 산학협력에서 이러한 실험 결과를 도출했다.

연구팀은 변기 커버를 내리지 않고 물을 내릴 경우 비말 입자가 최대 92㎝ 높이까지 상승하고 약 1분간 공중에 머물렀으며 비말 입자가 화장지 용기와 벽면 등 주변 표면으로 확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특히 대다수의 공중화장실에 설치된 하단이 개방된 화장지 용기는 화장지가 아래로 길게 늘어뜨려져 비산 입자에 노출되는 면적이 넓은 만큼 물 내림으로 인한 오염 가능성이 높다고 부연했다.

또 변기 커버를 닫고 물을 내려도 변기 시트를 비롯한 주변 환경이 오염되는 것으로 확인돼 시트 클리너로 변기 표면을 닦은 후 사용하고, 오염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화장지 노출 면적이 적은 밀폐형 용기 사용을 권장했다.

김형진 국민대 임산생명공학과는 “비산 입자가 공기 중 미생물이나 바이러스와 접촉할 경우 교차 감염의 가능성도 있어 위생 관리 측면에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1,999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