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자산 236조원' 버핏의 은퇴 선언…후계자 지목된 이 남자 누…

본문

전설적인 투자자 워런 버핏(94) 버크셔 해서웨이(이하 버크셔)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가 올해 말 은퇴한다고 선언했다. 3일(현지 시각) 미국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서 열린 버크셔 연례 주주총회에서 버핏은 “이제 아벨이 최고경영자가 돼야 할 때”라며 “나는 여전히 이곳에 머무를 것이고 때로는 도움을 줄 수도 있겠지만, 최종 결정은 아벨이 내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버핏이 언급한 아벨은 그레그 아벨(62) 버크셔 비(非)보험부문 부회장이다.

자산 ‘236조원’ 부자가 걸어온 길

1746346802998.jpg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이 2024년 5월 3일 미국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서 열린 버크셔 해서웨이 연례 주주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버핏은 1965년 버크셔를 인수한 이후 60년간 회사를 이끌어 왔다. 그는 7세 때 오마하 공립도서관에서 빌린 ‘1000달러를 버는 1000가지 방법(One Thousand Ways to Make $1000)’이란 책에서 영감을 받은 후 코카콜라나 껌을 팔아 돈을 모을 정도로 돈에 관심이 많았다고 한다. 컬럼비아대 경영대학원에서 ‘가치 투자의 아버지’ 벤저민 그레이엄을 만났고, 그의 투자회사에서 애널리스트로 일하다가 독립, 본격적으로 투자자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27살이던 1956년부터는 가족과 지인들의 자금을 모아 버핏 파트너십이라는 투자 조합을 운영해 33살때 자본금 720만달러를 달성했다. 이후 섬유 제조업체였던 버크셔 해서웨이를 인수하고 에너지·은행·항공·식품 등 실물 경제 관련 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면서 억만장자 반열에 올랐다. 기업의 내재 가치에 기반해 주식을 선택하고 장기보유하는 가치 투자 전략의 결과였다. 5월 기준 그의 자산은 1682억달러(약 236조원)로 포브스 집계 세계 부호 순위 5위에 올라있다. 그러나 1958년에 산 오마하의 주택에 현재도 거주하며 고가 미술품이나 호화 저택을 소유하지 않는 소박함으로도 유명하다.

버핏 후계자 그레그 아벨은 어떤 인물 

17463468031548.jpg

그레그 아벨 버크셔 해서웨이 비보험부문 부회장이 지난 2일(현지시각) 미국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서 열린 버크셔 해서웨이 연례 주주총회에서 주주들과 대화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시장의 관심은 버핏 이후 후계자로 지목된 아벨 부회장에 쏠리고 있다. 이미 버핏은 2021년부터 아벨이 차기 최고영영자(CEO)가 될 것이란 점을 공개한 바 있다. 2024년초 주주서한에서도 “아벨은 모든 면에서 내일 당장 버크셔의 CEO가 될 준비가 돼있다”고 말한 바 있다.

1962년생인 아벨 부회장은 다국적 컨설팅 기업인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 샌프란시스코 지사에서 회계사로 경력을 시작해 1992년 지열발전회사였던 칼에너지에 입사했다. 칼에너지가 1999년 미드아메리칸에너지로 이름을 바꾸고 버크셔가 미드아메리칸에너지의 지배지분을 인수하면서 버핏과 함께 일하게 됐다.

그는 직원 수 500명 규모로 시작한 에너지 회사를 2만3000명 규모로 성장시키는 등 버크셔의 글로벌 에너지 사업 부문을 확장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2018년 1월 버크셔 비보험 부문 부회장 및 이사회에 임명되면서 버크셔의 유틸리티·철도·제조·소매 등 자회사를 직접 관리해왔다.

아벨 부회장은 이날 주주총회에서 버핏이 회사를 떠나더라도 “버크셔의 투자 철학은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재무구조를 튼튼히 유지하는 것과 버크셔 산하 자회사의 자율적 운영을 강조하면서 “이것이 바로 워런이 지난 60년간 자본을 배분해온 투자 철학이며 앞으로도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버핏 은퇴 후 버크셔 주가 향방 관심

버크셔의 CEO 교체가 예고되면서 뉴욕증시 시가총액 7위인 버크셔 주가 향방에도 관심이 쏠린다. 올해 들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가 3.1% 하락하는 동안 버크셔의 주가는 19.7% 뛰었고 2일에는 신고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버핏의 은퇴 선언이 버크셔의 최고의 순간에 이뤄졌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일각에선 버크셔 투자자 상당수가 버핏의 존재 때문에 주식을 보유하는 만큼, 그의 부재가 불확실성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아벨의 경영 실적과 버크셔의 분산된 사업 포트폴리오는 여전히 긍정적 요인으로 평가된다. 버핏 역시 은퇴 후 버크셔 주식을 하나도 팔지 않겠다고 밝혔다. 한상균 쿼드자산운용 부사장은 “아벨의 경영 승계는 내부 승진인 데다, 2021년부터 투자업계에선 예상하던 것이라 은퇴 이벤트가 큰 변화를 만들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18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