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가자 무기한 점령' 나선 이스라엘…후티에 2000㎞ 장거리 보…

본문

17465147967017.jpg

지난 4일 이스라엘과 가자지구 접경 지역에서 이스라엘군 전차가 대기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이스라엘이 ‘가자지구 점령’과 ‘무기한 주둔’을 골자로 한 군사작전에 나선다. 당초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궤멸과 이들에게 억류된 인질의 귀환을 목표로 삼았지만, 국내 강경파를 달래기 위해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정치적으로 전략을 바꾼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5일(현지시간) AP통신 등에 따르면 전날 네타냐후 총리가 주재한 이스라엘 내각 회의에서 작전명 ‘기드온의 전차’란 새 작전계획이 만장일치로 의결됐다. 해당 계획엔 이스라엘군이 가자 점령지를 확대하고 이곳에 무기한 주둔한다는 내용이 담겼다고 한다. 이를 위해 예비군 수만 명을 소집해 투입할 예정이다.

17465147968599.jpg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오른쪽)이 지난 4일 예루살렘에서 니코스 크리스토두리데스 키프로스 대통령과 만나 대화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현재 가자의 약 50%를 장악한 이스라엘은 새 작전을 통해 더 많은 지역을 장악한 뒤 병력을 그대로 주둔시켜 하마스의 재건을 막는다는 구상이다. 네타냐후 총리는 이날 X(옛 트위터)를 통해 “한 가지는 분명하다. (이스라엘군은) 들어갔다가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이스라엘은 그동안 가자에 폭격을 거듭하면서도 지상군은 주요 회랑 지역 인근에 주둔하며 하마스의 거점을 공격한 뒤 철수하는 방식을 써 왔다.

다만 작전을 즉각 개시하진 않기로 했다. 시한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3∼16일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아랍에미리트(UAE) 등 중동 3개국 순방을 마칠 때까지다. 내각 회의 일원인 제에브 엘킨 의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동 방문을 마무리할 때까지만 (하마스와) 협상의 창을 열어둘 것”이라고 이스라엘 방송 칸에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을 의식하는 제스처를 취하면서도 점령 계획을 공표해 하마스를 압박하려는 전략이다.

이스라엘군은 작전 개시에 앞서 대부분의 가자 주민을 남부로 이동시키기로 했다. 미 인터넷 매체 악시오스에 따르면 최종 이동지는 가자 최남단 라파다. 이스라엘은 이곳에 구호물자 배급 시설을 건설해 그동안 중단했던 가자 주민에 대한 물자 지원을 재개할 계획이다.

17465147970092.jpg

지난 4일 예멘 후티 반군의 미사일 공격을 받은 이스라엘 텔아비브 벤구리온 국제공항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신화=연합뉴스

이스라엘은 이날 예멘의 친이란 무장 세력인 후티반군이 장악한 호데이다항도 전투기 20대를 동원해 폭격했다. 전날 후티반군이 호데이다에서 약 2000㎞ 떨어진 텔아비브의 벤구리온 국제공항 관제탑 인근을 미사일로 공격해 6명이 다친 데 대한 보복이었다. 후티 측 보건부는 이스라엘의 공격으로 최소 1명이 숨지고 35명이 다쳤다고 주장했다.

이스라엘의 잇따른 군사 활동 확대 움직임은 내부 강경파를 달래기 위한 네타냐후 총리의 정치적 선택이란 분석이 나온다. 이란 핵시설 공격 등 네타냐후 총리가 추진해 온 강경 군사 작전이 이란과 핵 협상을 벌이는 트럼프 행정부에 가로막힌 상황에서, 가자 공세 확대로 연정 파트너인 극우 세력의 불만을 잠재우려는 의도가 있다는 것이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번 작전 계획은) 일부 강경 지지층을 향한 네타냐후 총리의 메시지로 보인다”며 “전쟁 국면을 고조시키는 것은 그에게 국내 정치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해석했다. 후티반군에 대한 공습 역시 이란이 지원하는 ‘저항의 축’ 세력에 가자 개입을 삼가라는 경고를 던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17465147971674.jpg

5일(현지시간) 이스라엘 예루살렘에서 시위대가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이스라엘 정부에 항의하며 하마스에 억류된 인질의 즉각 귀환에 힘쓰라고 촉구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하지만 네타냐후 정권의 ‘단기적 생존’ 외 실제 작전의 실효성은 크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이스라엘 정보 책임자를 지낸 타미르 헤이만은 압도적 군사력으로 하마스를 압박하려는 시도가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효용을 잃었다고 NYT에 말했다.

이스라엘 내부에서도 우려가 나온다. 현지 신문 하레츠는 “작전 과정에서 더 많은 인질의 죽음과 수많은 병사의 손실로 이어질 수 있으며, 가자 주민의 강제이주는 추가적인 대량 살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짚었다. 실제로 에얄 자미르 이스라엘군 참모총장은 내각 회의에서 “점령 작전을 시작하면 인질들이 며칠 내 사망할 수 있고, 이미 숨진 인질들의 시신도 찾지 못할 수 있다”고 경고한 것으로 파악됐다.

관련기사

  • 17465147973325.jpg

    젤렌스키 "푸틴 휴전은 연극, 러 방문 정상 안전 보장 못해"

  • 17465147974961.jpg

    88분, 자랑만 늘어놨다…트럼프 100일 ‘MAGA 파티’

  • 17465147976368.jpg

    “트럼프, AI반도체 수출통제 제도 무역협상 카드로 활용 검토”

  • 취임 100일 맞은 트럼프 ‘수입차 관세부담’ 완화

  • 17465147977794.jpg

    젤렌스키 요청 무시해온 트럼프…돌연 "패트리엇 지원키로" 왜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496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