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남아시아 화약고’ 오명, 78년간 전쟁 3번 터졌다
-
4회 연결
본문
7일(현지시간) 벌어진 인도·파키스탄 미사일 무력 충돌의 중심엔 카슈미르가 있다. 양국은 1947년 영국에서 독립한 후 이 지역에 대한 영유권 문제로 갈등해 왔다. 양국이 지난 78년간 전쟁이란 극단적 수단으로 적대적 관계를 폭발시킬 때마다 카슈미르가 뇌관이 됐다. 이곳에 ‘남아시아의 화약고’란 오명이 붙은 이유다.
인도 북부, 파키스탄 북동부 산악지대에 위치한 카슈미르는 면적이 22만㎢로 한반도와 비슷하다. 47년 당시엔 독립된 토후국이었다. 주민의 70% 이상인 무슬림은 이슬람국인 파키스탄 편입을 요구했지만, 약 20%의 힌두계 지배 세력은 독립 유지 또는 인도 편입을 원했다. 카슈미르 군주 마하라자 하리 싱은 당초 독립을 주장하다 파키스탄 지지 민병대가 침입하자 카슈미르의 인도 편입을 조건으로 인도군 파병을 허용했다. 이에 양국은 2년간 1차 전쟁을 치렀다.
49년 유엔 중재로 카슈미르 북서부는 파키스탄이, 중부와 남부는 인도가 통치하기로 잠정 합의했지만, 양국은 65년에도 카슈미르 문제로 2차 전쟁을 벌였다. 71년엔 동파키스탄(현 방글라데시) 독립과 관련해 3차 전쟁을 치렀다. 이듬해 양국은 유엔이 49년에 정한 휴전선을 사실상의 카슈미르 내 국경선인 실질통제선(LoC)으로 정하는 심라 협정을 맺으며 휴전에 들어간다.
그럼에도 인도령 카슈미르에선 분리 독립을 요구하는 극단주의 세력의 테러와 무장 투쟁 등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다수인 무슬림 주민은 여전히 파키스탄과 합병하거나 독립해야 한다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인도에서 힌두민족주의를 내세우는 나렌드라 모디 정부가 집권한 후 갈등이 심화된 측면도 있다. 2019년 8월 모디 정부가 원래 카슈미르에 부여됐던 폭넓은 자치권과 원주민에 대한 거주 특혜를 박탈하면서다.
양국의 카슈미르 갈등은 핵무기 개발 경쟁으로도 이어졌다. 먼저 인도가 74년과 98년 핵실험에 성공하자 파키스탄도 98년 핵실험에 성공한다. 미국과학자연맹(FAS)에 따르면 인도는 172기, 파키스탄은 170기의 핵탄두를 보유한 것으로 추정된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