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美 동결에도 한은은 금리 내릴 듯…‘빅컷’ 가능성 있지만 환율이 변수
-
3회 연결
본문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관세 충격’에 기준금리 동결을 일단 택했지만, 한국은행은 이달 금리를 내릴 가능성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 예상이다.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크게 떨어지고 있는 만큼, 일단 경기 부양 쪽에 힘을 실을 필요가 있어서다.

기자간담회 하는 이창용 한은 총재. 연합뉴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오는 29일 통화정책방향(통방) 회의를 가지고 기준금리와 수정 경제전망을 발표한다. 이달 통방 회의의 가장 큰 관심은 한은이 전망하는 한국 경제성장률이다. 지난달 회의 직후 이창용 한은 총재는 “(경제)성장률이 상당히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금리 인하 횟수는) 5월 경제전망을 할 때 (성장) 폭이 얼마나 낮아질지에 따라 판단해야 할 것 같다”고 했었다.
이 총재가 경제성장률이 큰 폭으로 하향할 수 있다고 이미 경고한 만큼, 이달 금리 인하는 유력하다는 게 전문가들 생각이다. 또 다른 관건은 금리 인하 폭이다.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예상보다도 더 크게 떨어진다면, 한은이 금리 인하 횟수를 늘릴 가능성도 있다. 그간 이 총재는 “올해 1~2회 금리를 더 내릴 것”이라고 밝혔었다. 하지만 경제성장률 둔화가 심각하면 연내 3회 이상으로 금리 인하 횟수가 늘어날 수 있다.
29일 통방 회의에서 금리 인하 폭이 0.25%포인트가 아니라 0.5%포인트로 확대하는 ‘빅컷’을 단행할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점쳐진다. 다만 이 총재 “금리 내리는 것을 의심하지 말라”면서도 “(빅컷은) 데이터를 보고 판단할 것”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변수는 널뛰는 환율이다. 최근 달러 대비 원화 값은‘약달러’ 기조를 반영해 약 5개월 만에 1300원대까지 올라왔다. 하지만 미국이 추진하는 상호 관세 관련 협상 결과에 따라 원화 값이 언제든 다시 추락할 수 있다. 특히 미국 Fed가 기준금리 동결을 고수하고 있는 가운데, 한은만 금리를 인하할 경우 금리 차 확대에 따른 원화 가치 하락이 다시 문제가 될 수 있다.
잠잠하던 가계대출이 다시 증가할 조짐을 보이는 점도 안심할 수 없는 부분이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743조848억원으로 전월 대비 4조5337억원 급증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전 부동산 막차 매수가 늘어난 영향이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내수 부진이 심각한 상황이고, 환율이 일단은 안정된 상황이기 때문에 금리를 내리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면서 “가계부채는 금리만으로 조절할 수 없고, 부동산 공급 대책 등 다른 방법을 함께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