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AI 쏠림 지원은 문제” “이공계 대학원생 태부족”…과학 인재 육성 해법은?[팩플]
-
4회 연결
본문
과학기술 인재 부족 현상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학령인구 감소와 의대 쏠림 현상 등으로 이공계 인재 유입이 급격히 감소하고, 해외로 인재 이탈이 가속화하고 있어서다.
무슨 일이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여야 의원들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 1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이공계 위기 시대, 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위한 해법 모색’을 주제로 정책 포럼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 참석한 과학기술계 인사들은 “과학기술 인재 육성은 곧 국가 경쟁력”이라며 “긴급하고 체계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박기범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선임연구위원이 1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이공계 위기 시대, 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위한 해법 모색’을 주제로 열린 정책 포럼에서 주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현실 어떻길래
전문가들은 대학원의 위기가 본격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박기범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선임연구위원은 “2040년부터 이공계 대학원 입학생이 줄어들기 시작해 2050년에는 상위 20개 내외 대학을 제외한 나머지 대학들은 대학원생을 전혀 확보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김영오 서울대 공과대학장은 “서울대 공대에 850명 이상 입학하면, 750명 이하만 졸업할 정도로 이탈이 많다”고 토로했다.
인공지능(AI)과 반도체 등 특정 분야에만 지원이 쏠리는 문제도 지적됐다. 고려대 박사 과정 장원우 씨는 “최근 수년간 AI나 반도체 분야에만 정책적 관심과 연구 자본이 집중돼 있다”며 “전산·전자·물리·수학 등 기술 생태계를 뒷받침하는 기반 학문까지 균형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위기 원인은
질 좋은 일자리와 보상이 부족하다는 점이 위기의 핵심 원인으로 꼽힌다. 박 선임연구위원은 “매년 이공계 박사급 인력은 1만 명이 배출되지만, 국내 대학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일자리는 1000여개에 불과하다”고 짚었다. 정부의 과학 인재 육성 정책이 부처별로 흩어져 있어 질적인 성과를 내기엔 미흡한 점, 연구실의 연구·개발(R&D) 수주 경쟁을 야기하는 지원 방식에 대한 문제점 지적도 이어졌다.
해법은
해법으로는 사회적 수요에 맞는 인재 육성 정책과 최우수 인재를 위한 파격적 인센티브 제공 등이 제시됐다. 김 학장은 “차기 정부에 최정예 AI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국가 주도 연구원을 설립하는 방안을 제안한다”며 “전임 연구원의 경우 박사 초봉 5억~10억원과 주택 제공 등 파격적 조건을 제시해 인재 유출을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벤처기업 진코어의 김용삼 대표는 “정부가 벤처기업이 고급 인력을 유치할 수 있도록 인건비 일부를 보조하고, 스톡옵션에 대한 세제 혜택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