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위험한 투자' 대선 테마주…72%가 고점대비 30%이상 급락

본문

17472062755472.jpg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14일 전북 전주시 전북특별자치도선거관리위원회에서 관계자들이 선거 벽보를 준비하고 있다. 뉴스1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정치테마주 주가가 과열 양상이 보이자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가 공동 대응에 나섰다. 양 기관은 지난 13일 2차 실무회의를 열고 소셜미디어(SNS)에 정치인 관련 허위 풍문을 퍼뜨리는 등 일반 투자자들의 추종 매매를 부추기는 행위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불공정거래 혐의가 발견되는 경우 즉시 조사에 착수해 엄정 대응하겠다고 14일 밝혔다.

정치테마주는 기업의 실적과 별개로 선거 국면에 따라 주가가 오르내리기에 주가를 예측하기 어렵고, 손실을 보기 쉽다. 실제로 금감원과 거래소에 따르면 정치테마주 60개 종목 중 72%가 지난 9일까지 고점 대비 주가가 30% 이상 급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일례로 한덕수 전 국무총리 테마주였던 일정실업 주가는 지난 2일 3만1850원으로 최고점을 찍은 뒤 현재 1만원대로 내려앉았다.

또한 수년간 적자를 탈출하지 못했는데도 주가순자산비율(PBR)이 유가증권시장 평균의 8배 이상까지 치솟은 정치테마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BR은 기업의 주가를 주당 순자산가치로 나눈 값으로, 낮을수록 주가가 저평가돼 있다고 해석된다.

실제로 정치테마주도 돈을 버는 개인투자자도 얼마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거래대금 기준으로 정치테마주에서 개인투자자 비중은 86.9%로, 이들은 최근 한 달간 42개 종목에서 손실을 본 것으로 드러났다.

17472062756962.jpg

14일 오전 서울 중구 KEB하나은행 본점 외환딜링룸의 모습. 연합뉴스

금감원과 거래소는 담당 부서 간 핫라인을 구축하는 등 정치테마주 과열 방지를 위해 정보 공유를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거래소는 정치테마주에 대해 시장경보 종목을 지정하거나 조회 공시를 요구하는 등 사전 예방 조치에도 나선다.

금감원 관계자는 “근거 없는 풍문에 의한 추종 매매보다는 회사의 본질적 가치와 현재 주가의 적정 여부를 살펴본 후 투자하는 건전한 투자문화 정착이 필요하다”며 “풍문을 생성·유포하는 행위만으로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해 과징금 등 부과 대상이 될 수 있다”고 했다.

관련기사

  • “빅테크 정면승부 승산없다” 대선 공약에 뜰 ‘국내 AI’ 종목 [대선株자①]

  • 관세 영향도 없는데 빠졌다…“구글·메타, 지금이 기회다” [서학콘콜①]

  • MS 효자는 오픈AI 아니다, 100조원 쏟은 찐 비밀병기 [머니스쿨⑪]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877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