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점점 사라지는 현금…작년 현금 이용 16% 그쳐
-
3회 연결
본문
한국인이 돈을 쓸 때 현금을 사용한 비중이 지난해 10%대로 내려갔다. 신용카드에 이어 모바일 간편결제까지 활성화하면서 ‘현금 기피’가 심해졌다.
15일 한국은행의 ‘2024년 지급수단·모바일금융서비스 이용행태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지급수단으로 현금을 이용한 비중(건수 기준)은 15.9%다.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3551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다. 지급수단으로 신용카드(46.2%)를 사용한다고 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현금은 체크카드(16.4%)에 이어 세 번째로 이름을 올렸다. 모바일카드(12.9%)를 사용했다는 응답도 현금과 비슷한 수준까지 올라왔다.
현금을 쓰는 비중은 매년 가파르게 하락 중이다. 2013년 현금을 이용했다고 답한 비율은 41.3%에 달했지만, 2017년 36.1%로 떨어졌고 지난해엔 10%대 중반까지 하락했다.
약 7년 새 현금 사용 비율은 반토막이 났다. 다른 나라와 비교해도 낮다. 월드페이 설문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현금 사용도(소비자가 오프라인 매장에서 결제할 때 현금을 사용하는 비중, 금액 기준)는 2023년 10%였다. 주요 40개국 중 29위로 전체 평균(23%)의 절반 수준이다.
한은 조사에서 전 연령대가 1순위로 선호하는 지급수단으로 신용카드(54.7%)를 가장 많이 꼽았다. 50대 이하는 신용카드에 이어 모바일카드를 두 번째로 많이 지목했다. 60대 이상만 신용카드(52.1%) 바로 다음으로 현금(30.2%)을 선택했다.
한은은 이 보고서에서 “디지털 금융 취약 계층에 대한 교육 기회를 확대해 비현금 지급수단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면서 “비현금 지급서비스 관련 금융 보안 체계를 고도화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