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흡연자 폐암 위험, 최대 54배 높다…"유전 영향은 1%도 안 돼"
-
2회 연결
본문

서울 중구 거리에 설치된 흡연부스 앞에 금연구역 문구가 적힌 표지판이 설치돼 있다.뉴스1
국내 흡연자의 폐암 발생 위험이 비흡연자보다 최대 54배 이상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반면 폐암 발병 시 유전 등 선천적인 영향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나 흡연이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게 확인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과 연세대 보건대학원은 2004~2013년 전국 18개 민간검진센터 수검자 13만6965명을 분석한 결과를 18일 공개했다. 공동 연구팀은 이들 수검자를 2020년까지 추적 관찰해 폐암(전체·소세포폐암·편평세포폐암·폐선암), 후두암(전체·편평세포후두암) 발생 원인 등을 들여다봤다.
연구 결과, 폐암·후두암 발생 위험은 과거 흡연자보다 현재 흡연자에서, 그리고 흡연력(흡연 기간과 양)이 높을수록 커졌다. 특히 성·연령 등 일반적 특성과 유전위험점수가 동일한 수준일 경우, 30년 넘게 담배를 사흘에 두 갑 이상(20갑년·갑년은 하루 평균 흡연량(갑)X흡연 기간(년)) 피운 사람은 비흡연자보다 소세포폐암에 걸릴 위험이 54.49배 높았다. 편평세포폐암은 21.37배, 편평세포후두암은 8.3배 높게 나왔다. 소세포폐암은 전체 폐암의 15~25% 정도로, 빠르게 성장하고 전이가 잘 돼 '독한 폐암'으로 분류된다.
반면 일반적 특성과 흡연력이 같다는 조건으로 유전위험점수 상위 20%(고위험) 그룹을 나머지와 비교한 결과, 폐암에 걸릴 위험은 1.2배 느는 데 그쳤다. 후두암도 1.8배 수준이었다. 유전위험점수는 폐암·후두암 등 질환 발생에 대한 유전적 위험도를 점수로 만든 것이다.

폐암 및 후두암 발병 위험 요인 분석 결과. 자료 국민건강보험공단
폐암·후두암의 발병에 기여하는 비율도 담배가 절대적이었다. 30년 넘게 사흘에 두 갑 이상 피운 사람의 경우, 흡연이 소세포폐암 발생에 기여하는 정도가 98.2%를 차지했다. 해당 비율은 편평세포후두암 88%, 편평세포폐암 86.2%로 나왔다. 반면 전체 폐암과 편평세포폐암 발생에 유전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수준은 각각 0.7%, 0.4%에 그쳤다. 후두암과 소세포폐암 등에선 아예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엄상원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폐암은 선천적 요인보다 흡연 같은 후천적 요인에 따른 체세포 돌연변이가 주요 발병 원인으로 알려져 왔다. 이번 연구는 국내 처음으로 선천적 유전 요인이 폐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미미하단 걸 과학적으로 규명했다는 의미를 갖는다"고 밝혔다. 이선미 건강보험연구원 건강보험정책연구실장은 "흡연이 암 발생의 강력한 위험 요인임을 재확인했다"고 말했다.
건보공단은 11년 넘게 진행 중인 흡연 폐해 손해배상 청구 소송(담배소송)에 해당 연구 결과 등을 활용할 예정이다. 공단이 담배회사를 상대로 제기한 담배소송 1심에선 공단이 패소했고, 항소심은 이달 22일 12차 변론(재판부 계획상 마지막 변론)을 앞두고 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