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가계대출 보름새 3조 급증…토허제·빚투 따른 일시적 현상?

본문

빚 증가 놓고 다른 시각

잠잠하던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달 들어 다시 가팔라졌다.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해제, 주식 시장 ‘빚투(빚을 내 투자하는 것)’ 열기에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수요가 동시에 커졌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가계대출이 아직 관리 범위 안이라고 보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안심하기는 이르다고 지적한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 15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745조9827억원)은 4월 말(743조848억원)과 비교해 2조8979억원이 급증했다. 현재 추세면 전월 대비 이달 가계대출 증가세는 6조원에 달할 수 있다. 이는 지난달 가계대출 증가 폭(4조5337억원)을 능가하는 것은 물론 지난해 8월(9조6259억원) 이후 가장 많은 금액이다.

금융당국의 강도 높은 규제에 올해 1월(-4762억원)까지만 해도 5대 은행 가계대출은 전월 대비 감소했다. 하지만 2~3월 토허제 해제·재지정 여파에 강남 등 서울 일부 지역의 부동산 매수가 많아지면서, 4월(4조5227억원)부터는 전월 대비 5대 은행 가계대출 잔액이 급증하기 시작했다.

실제 올해 1~3월 5대 은행의 전월 대비 주담대 증가 폭은 1~3조원에 그쳤지만, 4월(3조7495억원)엔 4조원에 육박할 정도였다. 현 흐름이 이어지면 이달 주담대 증가 폭도 3조원 중반대를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

신용대출도 증가 폭도 커졌다. 15일 기준 5대 은행의 신용대출 잔액(103조5870억원)은 지난달 말(102조4931억원) 대비 1조939억원 많았다. 이는 4월 전체 신용대출 증가 폭(8868억원)을 이미 뛰어넘은 수치다.

다만 금융당국은 가계대출 증가세가 다음달부터는 다소 둔화할 것으로 예상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5월은 연휴와 기념일이 많아서 원래 신용대출 수요가 많은데 최근 주식시장 상승에 신용대출을 받아 주식 투자에 나서는 사람도 많아져 일시적으로 대출이 는 것”이라며 “최근 주택 거래량도 줄었기 때문에 대출 증가세가 더 늘어나진 않을 것”이라고 했다. 오는 7월부터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시행되면 가계대출 증가세도 억제될 수 있다는 게 금융당국 판단이다.

금융당국의 이런 낙관론과 달리 변수는 많다. 가장 큰 복병은 대출금리다. 은행 변동금리 주담대의 기준이 되는 신규 취급액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는 지난해 10월(3.37%)부터 7개월 연속 떨어져 지난달에는 2.7%까지 하락했다. 은경완 신한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경기 하방 위험에 연내 2~3차례 금리 인하가 가능하다”고 예상했다.

부동산 공급 절벽 우려도 가계대출 관리를 어렵게 하는 요소다. 2022년 이후 고금리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진에 건설 착공이 급감하면서, 내년부터 주택 공급 부진에 대한 우려가 크다. 이는 부동산 매수를 자극해 가계대출을 늘리는 요인이다. 한국부동산원과 부동산R114에 따르면 내년 전국 입주 물량은 19만773가구로 올해(27만4360가구)보다 30.47% 감소할 전망이다.

대선과 내년 지방선거 등 잇따른 선거도 대출 수요를 자극할 요인이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선거 때는 개발 공약이 나오기 때문”이라면서 “금융당국이 대출금리만 붙잡아 둘 것이 아니라 다른 방식의 가계대출 관리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75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