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36년 사랑한 라 스칼라의 청혼…늦었다 한들 거부할 수 없었다

본문

1747671725292.jpg

지휘자 정명훈이 19일 부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탈리아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 음악감독 선임 소감을 밝혔다. 이탈리아 고전 음악계의 자존심인 라 스칼라는 18세기 개관했다. 송봉근 기자

“라 스칼라와 첫 연주한 게 1989년인데, 시작부터 놀라울 정도로 잘 맞았다. 36년간 서로 사랑스럽게 지내다 갑자기 결혼하게 된 격이다. 친구가 아니라 가족이 됐으니 책임이 커졌다.”

2027년 이탈리아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의 음악 감독에 취임하는 지휘자 정명훈(72)의 소회다. 247년 역사의 ‘오페라 메카’에서 첫 동양인 지휘자가 된 그는 19일 부산 연지동 부산콘서트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아무리 유명한 오케스트라의 (음악감독) 초대를 받아도 ‘너무 늦었다(too late)’라고 답하는데, 라 스칼라만큼은 노(NO) 할 수가 없었다”며 이렇게 말했다.

지휘자 리카르도 샤이(72)를 이어 2030년까지 이끌게 된 정 감독은 라 스칼라와 1989년부터 9편의 오페라 공연 84회, 콘서트 141회를 함께 했을 정도로 끈끈한 사이다. 2023년엔 이 극장의 소속 오케스트라인 라 스칼라 필하모닉의 명예 지휘자에 위촉됐다. 특히 정 감독이 부산콘서트홀(오는 6월 21일 개관)과 부산오페라하우스(2027년 개관)를 운영하는 클래식 부산의 예술감독도 맡고 있다는 점에서 시너지가 기대된다.

정 감독은 이날 27년 시즌 밀라노와 부산을 잇는 프로젝트를 깜짝 공개했다. 그는 “라 스칼라 음악감독으로서 공식 연주하는 첫 날짜가 내년 12월 7일인데, 베르디의 ‘오텔로’를 할 것”이라며 “부산에서도 27년 9월 오텔로, 라 스칼라(를 할 것)”라고 밝혔다. 27년 9월 개관이 목표인 부산 오페라하우스에서 라 스칼라 초청 공연이 예상되는 발언이다.

그는 이날 이탈리아와의 50년 인연을 ‘파스타 사랑’이라는 키워드로 꺼냈다. “1975년 시에나에 가서 파스타에 빠져서 나중엔 ‘로마 1년 살기’까지 했다”면서 “1989년 프랑스 바스티유 오페라(현 파리 국립오페라)를 맡았을 때부터 파리-로마를 오가며 살았고 지금도 이탈리아인보다 뽀모도로(토마토)를 많이 먹는데, 1년에 직접 만든 퓨레 1000병은 먹는다”며 웃었다. 그는 또 “나라(국토) 생김새부터 노래를 좋아하는 면까지 한국인이 유럽 가운데 이탈리아와 가장 가깝다고 생각힌다”며 “(한국 음악계도) 라 스칼라와 하면서 더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첫 공연을 베르디로 잡은 것과 관해선 “오페라 중에서도 가장 사랑하는 작곡가가 베르디이고 베니스에서도 17년 간 베르디를 많이 했다”면서 “30여 년 전 파리 오페라 시절 플라시도 도밍고와 베르디 녹음까지 했다. 그때보다 더 잘해야 하는데, 더 깊이 음악을 파고 들어가는 게 쉬운 일이 아니다”고 했다. 또 “해외 생활을 오래 해서인지 ‘아시아인 처음’이라는 덴 별다른 감흥이 없다”면서도 “나라를 빛낼 수 있는 좋은 기회라 꼭 (잘)해야 한다고 느낀다”고 부연했다.

클래식부산의 박민정 대표는 정 감독의 라 스칼라 겸직에 대해 “예술적 교류뿐 아니라 연출 등 이탈리아의 앞선 제작기술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02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