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국민 61%, 민생과제 1순위는 물가 안정…일자리·주거 등 꼽혀
-
3회 연결
본문

지난 18일 서울 시내 한 마트에 국내산 김치가 진열돼 있다. 연합뉴스
국민 10명 중 6명은 물가 안정을 최우선 민생 과제로 꼽았다.
한국경제인협회는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민생 과제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 60.9%가 ‘물가 안정’을 꼽았다고 20일 밝혔다.
뒤이어 양질의 일자리 창출(17.6%), 주거 안정(9.5%), 지역경제 활성화(7.8%), 취약계층 지원 강화(3.8%) 등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20대 이하(57.2%), 30대(56.3%), 40대(63.5%), 50대(64.9%), 60대 이상(60.7%) 등 모두에서 물가 안정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물가 안정을 제외하면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20대 이하(23.0%)와 50대(19.3%)에서 높게 나타났고, 30대에서는 ‘주거 안정’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나란히 16.9%였다.
민생경제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묻는 문항에서도 ‘고물가 및 생활비 부담 증가’가 53.5%로 1위를 했다.
이어 일자리 문제·고용불안(11.3%), 주거비 상승·전월세 부담 증가(10.0%), 경기 둔화·내수 위축(7.2%), 소득 정체·실질임금 감소(6.8%)가 뒤를 이었다.
한경협은 최근 소비자물가상승률이 2%대 초반을 유지하고 있지만, 고물가 추세가 누적되면서 체감 물가가 여전히 높게 나타난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소비자물가지수는 2016년(95.78)에서 2020년(100)까지 4.4% 상승했고 2020년부터 올해 4월(116.38)까지는 16.4% 올랐다.
물가 안정을 위해 정부가 추진할 정책으로는 ‘농축산물·생필품 가격 안정(35.9%)’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공공요금 부담 경감(21.8%), 환율 변동성 완화·수입 물가 안정(17.2%), 세금 부담 완화·생활비 지원 강화(17.1%), 에너지·원자재 가격 안정(7.8%) 등 순이었다.
2순위 과제인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대해서는 청년·여성·고령층 맞춤형 고용 지원 강화(31.9%), 첨단산업·신성장 동력 분야 일자리 창출(21.0%), 노동시장 개혁·근로환경 개선(20.6%), 중소기업·스타트업 육성을 통한 고용 확대(20.0%) 등 순이었다.
주거 안정 과제로는 주택공급 확대·부동산 시장 안정(36.3%)이 가장 높았다. 이어 전월세 가격 안정·세입자 보호 강화(27.4%), 주거 취약계층 지원 확대(16.1%), 주택금융·세제지원 확대(13.2%) 등 순이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고물가와 경기침체 장기화로 국민들의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농산물 수입선 다변화, 유통구조 개선 등에 노력하고 민간의 일자리 창출 여력 확충으로 가계의 소득 창출 능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