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신라가 사랑한 비단벌레…황남동 금동관서 날개 장식 첫 확인

본문

17477976997712.jpg

자연상태의 비단벌레. 현재 천연기념물로 지정돼 있다. 사진 국가유산청

오색 영롱한 비단벌레 날개 장식이 경주 황남동 출토 금동관에서 발견됐다. 신라 최상위층 고분에서 비단벌레 장식이 일부 나온 적 있지만 금관 혹은 금동관에서 확인된 건 처음이다.

국가유산청은 21일 2020년 출토된 황남동 120-2호분 금동관을 보존처리하는 과정에서 총 13곳에서 비단벌레 날개 15장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7장은 관에 붙은 채, 나머지 8장은 떨어져 나와 주변에 흩어진 상태였다고 한다.

17477976999474.jpg

국가유산청이 2020년 경주 황남동 120-2호 무덤에서 출토된 금동관을 보존 처리하는 과정에서 비단벌레 날개 장식을 확인했다고 21일 밝혔다. 사진은 경주 황남동 120-2호분 금동관 출토 상태. 사진 국가유산청

17477977001653.jpg

경주 황남동 120-2호 무덤에서 출토된 금동관을 보존 처리하는 과정에서 비단벌레 날개 장식이 확인했다. 거꾸로 된 하트 모양 중 왼쪽이 비단벌레 날개 장식이 붙어 있는 부분이고 오른쪽은 떨어져나가 구멍 상태다. 사진 국가유산청

금동관은 3개의 4단 출(出)자 모양 세움장식과 2개의 사슴뿔 모양 세움장식, 그리고 관테로 구성됐다. 곳곳에 뒤집힌 하트 모양 구멍을 뚫어(투조) 장식했는데 비단벌레 날개는 이 구멍을 장식하며 붙어 있었다. 한 군데만 3장이 겹쳐진 상태였고, 나머지 4장은 네 곳에 한 장씩 붙어 있다. 대부분 검게 변색했지만 희미하게 원래 빛을 띠는 것도 있다.

6세기 초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이 무덤에선 앞서 금동관과 금동신발, 금귀걸이, 구슬 팔찌 등 장신구 일체가 착용 상태 그대로 모습을 드러내 주목받았다.

발굴 조사를 담당한 김권일 신라문화유산연구원 학예연구실장은 “신라 문화권에서 발견된 금관이나 금동관에서 이렇게 뒤집힌 하트 형태 구멍이 확인된 것도 처음이고 여기에 비단벌레 장식을 더한 것도 첫 사례”라고 설명했다.

1747797700315.jpg

비단벌레 날개 위치 확인을 돕기 위한 금동관 모식도. ① 출자형 세움장식 중앙 끝단에 3매가, ②,③ 출자형 세움장식 좌우 끝단에 각 1매가, ④ 관테에 1매, ⑤사슴뿔형 세움장식에 1매가 붙은 채 출토됐다. 총 15장 중 나머지 8장은 떨어져 나와 주변에 흩어진 상태였다 사진 국가유산청

화려한 금록색을 띠는 비단벌레 날개는 특유의 광택 때문에 신라 시대 장신구 치장에 종종 쓰인 것으로 추정된다. 앞서 경주 황남대총 남분, 금관총, 쪽샘 44호 고분 등에서 말갖춤(馬具, 안장·발걸이·말띠드리개 등을 일컬음)이나 허리띠 등의 비단벌레 장식이 확인된 바 있다. 여성이 무덤 주인으로 추정되는 쪽샘 44호의 경우 딱지날개 2매를 겹쳐 물방울 모양으로 만든 장신구가 발견되기도 했다.

국가유산청은 “금동관에서 보이는 출(出)자 모양 세움장식이 학계에서 신라 왕족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여겨지는 만큼, 비단벌레 날개 장식은 단순한 미적 표현을 넘어 착장자의 사회적 위상을 짐작하게 한다”면서 “신라 공예기술에서 비단벌레 날개 사용 범위를 넓히는 한편 지배계층 문화의 관계를 보여주는 자료로서 학술적 가치가 높다”고 설명했다.

17477977004823.jpg

자연상태의 비단벌레. 현재 천연기념물로 지정돼 있다. 사진 국가유산청

이번 조사는 국가유산청과 경주시가 공조하는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사업의 일환이다. 2018년부터 황남동 120호 무덤(5세기 후반) 일대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북쪽에 위치한 120-1호 무덤(6세기 초)과 남쪽의 120-2호 무덤(6세기 초)이 추가로 확인됐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55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