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점유율 떨어지는 다음…합병 11년 만에 카카오서 독립한다
-
3회 연결
본문

카카오가 합병 11년 만에 포털 서비스 ‘다음(Daum)’을 분사한다. 의사결정이 보다 자유로운 독자 경영 체제 아래서 재도약 계기를 마련하겠다는 취지다.
카카오는 22일 이사회에서 포털 서비스 다음 운영사인 콘텐트CIC를 분사한 뒤 100% 자회사인 ‘다음준비신설법인’을 설립하기로 의결했다. 다음은 2014년 10월 카카오에 흡수합병된 지 11년 만에 카카오에서 분리된다. 신설법인으로 이관되는 사업은 현재 콘텐트CIC가 운영하고 있는 다음 메일·카페·검색·뉴스·쇼핑 등이다. 카카오는 신설법인이 당장은 다음 서비스를 운영 대행하는 형태로 사업을하되, 연말까지는 신설법인으로의 영업 양수도를 완료하겠다고 밝혔다.
네이버와 함께 한국 포털 사이트 전성시대를 연 다음은 모바일 시대가 오면서 영향력이 급격하게 축소됐다. 시장조사업체 인터넷트렌드에 따르면 국내 검색엔진 시장에서 다음의 점유율(5월 평균)은 양사 합병 직후인 2015년 12.48%에서 2020년 6.07%, 올해 2.84%로 지속 하락했다. 네이버가 1위 자리를 지키는 와중에 다음은 구글, 빙(마이크로소프트) 등 외국 검색엔진에 잇따라 추월당했다. 카카오는 2023년 5월 다음을 사내독립기업(CIC)으로 전환했고, 올해만 두 차례에 걸쳐 다음 앱을 전면 개편하는 등 체질 개선을 꾀했다. 분사를 통해 다양한 시도로 새 성장동력을 찾는게 목표다. 신설법인 대표로 내정된 양주일 현 콘텐트CIC 대표는 “더 빠르고 유연한 의사결정 구조 하에 포털 다음의 재도약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 새로운 실험과 도전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신설법인은 향후 숏폼, 미디어, 커뮤니티 등 다음이 가진 자산을 활용한 새 사업 분야를 발굴할 계획이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