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팩플] 네이버, 태국어 AI 구축한다...첫 동남아 '소버린 AI&ap…
-
2회 연결
본문
네이버클라우드가 태국 인공지능(AI) 기업과 태국어 기반 AI 모델을 구축하기로 했다. 엔비디아와의 협력 관계를 통한 ‘소버린 AI’(각 국가가 자체 인프라와 데이터를 활용해 자주적인 AI 역량을 구축하는 것) 전략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네이버와 엔비디아 주요 경영진이 22일 대만 엔비디아 오피스에서 미팅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최수연 네이버 대표,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제이 퓨리 엔비디아 총괄 부사장,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사진 네이버클라우드
무슨 일이야
네이버클라우드는 태국 AI 기업 ‘시암 AI 클라우드’와 태국어 기반 거대 언어 모델(LLM)과 AI 에이전트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이번 협약으로 태국이 독자적인 AI 모델을 개발·운영하는 데 참여하게 된다. 두 회사는 올해 말까지 실제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는 태국어 특화 LLM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관광 분야 전문 AI 에이전트(비서)를 선보일 계획이다. 이후엔 다양한 AI 모델 라인업을 개발해 헬스케어, 공공 서비스 등 AI가 필요한 산업군으로 사업을 확장한다. 태국 방콕에 본사를 둔 시암 AI는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로, 태국의 AI 전환을 주도하고 있는 기업이다.
이게 왜 중요해
이번 협약은 ‘소버린 AI’ 확산을 노리는 네이버와 엔비디아, 자국 AI가 필요한 태국 기업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진 결과물이란 평가다. 네이버는 한국어에 특화된 자체 AI 모델인 ‘하이퍼클로바X’를 구축한 기술 노하우를 기반으로 글로벌 공략에 나서고 있다. 네이버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아랍어 기반 LLM 개발 사업도 진행 중이다.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AI 기술력을 확보해 빅테크 기업들의 범용 AI 모델에 종속되지 않으려는 수요가 있다. 엔비디아 역시 GPU 칩 수요를 늘리기 위해선 다양한 AI 모델이 많으면 많을수록 좋은 상황이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이번 협력은 태국이 자국 내 AI 모델을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는 기술력과 통제권을 갖추도록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이는 독자적으로 AI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국가들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고 말했다.

네이버와 태국 인공지능(AI)·클라우드 플랫폼 기업 ‘시암 AI 클라우드’, 엔비디아 경영진이 22일 태국어 기반 거대 언어 모델(LLM)과 AI 에이전트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최수연 네이버 대표,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라따나폰 웡나파찬트 시암 AI 클라우드 대표, 레이몬드 테 엔비디아 APAC 총괄 대표. 사진 네이버클라우드
앞으로는
네이버는 태국 외 동남아시아 국가 AI 기업과 ‘소버린 AI’ 공동 개발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해진 의장 등 네이버 경영진은 이번 대만 방문에서 엔비디아와 중화텔레콤 등 다양한 사업 파트너들을 만나 동남아 시장 확대 가능성을 논의했다. 네이버는 엔비디아와 동남아 AI 기업들의 거점 데이터 센터를 설립하는 방안도 논의하고 있다.
더중앙플러스 : 팩플
더 자세한 기사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기사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착한데 지독하다, 이해진 컴백…‘10조 클럽’ 네이버에 생길 일
‘네이버는 인공지능(AI) 시장에서 준비돼 있는가?’ 지난해 네이버 사내 간담회에서 나온 직원의 질문이다. 다시 네이버의 키를 쥘 이해진 창업자는 답을 가지고 있을까?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1200
‘IT 중동 특수’ 예감 통했다…사우디 1400억 네이버 그녀
채선주 네이버 전략 사업 부문 대표는 지난 2년여간 한 달이 멀다하고 편도 16시간 비행기를 환승해 가며 사우디로 날아갔고, 모랫바람을 뚫고 고위 공직자부터 잔뼈 굵은 아라비아 상인까지 두루 만나며 신뢰를 쌓았다. 도대체는 그는 왜 중동에 꽂혔을까. 네이버의 ‘중동 신화 창조’는 가능할까.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99129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