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WSJ "북한, 해상전력 강화 목적은 보복 핵공격 능력 확보 위해"
-
4회 연결
본문

북한이 지난 21일 새구축함 진수식을 진행하던 중 사고가 난 동해 청진조선소의 22일 모습. 진수 과정에서 옆으로 쓰러진 함정이 위장막으로 덮여있다. 사진 Open Source Centre X 계정 캡처
북한의 최근 신형 구축함 진수는 해상전력 보강을 통해 ‘제2격’(second strike·상대편의 선제 핵공격을 받은 후에 하는 보복 핵공격) 능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는 ‘김정은, 북한군 현대화를 재촉하다’라는 제목의 24일자(현지시간) 지면 기사에서 사흘 전 발생한 구축함 진수 실패 사고를 소개하면서 이같이 보도했다.
앞서 노동신문은 지난 21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켜보는 가운데 청진조선소에서 새로 건조한 5000t급 구축함 진수식을 진행하는 중 “엄중한 사고”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측면으로 진수하는 과정에서 구축함이 균형을 잃고 넘어지면서 배 뒷부분이 이탈했다.
WSJ는 “세계에서 가장 심하게 정보가 억압되는 사회 중 하나인 북한에서 이처럼(북한 당국이 구축함 진수) 실패를 공개적으로 인정한 것은 김정은이 해군 전력 증강을 얼마나 긴요한 것으로 보는지 잘 보여줬다”고 논평했다.
그러면서 한국군 평가를 인용해 북한 해군의 외형상 규모가 병력 6만명, 전함 420척, 잠수함 70척에 이르지만 실제로는 해안 경비대나 마찬가지라고 소개했다. 노후화된 함정, 구식 무기 시스템의 북한 해군은 먼바다 작전 능력이 제한돼 있다는 것이다.
북한은 지난달 25일 남포조선소에서 5000t급 신형 다목적 구축함 ‘최현’호를 진수했으며, 이번에 진수에 실패한 구축함도 이와 동급으로 추정된다.
WSJ에 따르면 북한이 이런 대형 현대식 전함들을 공개한 것은 현재 북한 해군 함정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옛 소련 시절 건조된 구형 전함들을 대체하고 해군 전력을 강화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진수 사흘 만에 진행된 지난달 28일 첫 무장 시험사격 당시 김정은은 “초음속순항미사일과전략순항미사일, 전술탄도미사일을 비롯해 가장 강력한 타격수단들과 함의 통상적인 방어수단들을 효과적으로 배합 탑재한 우리 식의 함상화력체계가 정말로 훌륭하다”고 평가했다. 최현호에는 러시아제 방공시스템도 달린 것으로 보인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지난달 30일 미사일총국과 국방과학원, 탐지전자전총국이 구축함 '최현'호에 탑재된 무장 체계들의 성능 및 전투 적용성 시험에 착수했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순항미사일 시험밝사 등 구축함의 첫 무기체계 시험을 지난 28일과 29일에 진행했다고 전했다.뉴스1
WSJ는 미국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대륙간탄도탄(ICBM)과 핵무기를 보유하는 등 지상 기반 공격 능력을 갖춘 북한이 이런 능력을 보충하기 위해 해군 전력을 증강해 ‘제2격’ 능력을 확보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전문가들은 북한이 미국과 한국의 해군 전력에 맞서려면 탐지가 불가능하고, 장거리를 이동할 수 있는 핵추진 잠수함을 갖춰야 하지만 이는 쉽지 않은 일이라고 지적했다.
김정은은 ‘핵동력전략유도탄잠수함’ 개발을 군사분야 최우선 과제 중 하나로 삼고 있으며 최근에는 핵잠수함 건조 현장을 시찰하기도 했다.
이상규 한국국방연구원(KIDA) 핵안보연구실장은 WSJ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이 핵잠수함을 실제로 배치하는 능력을 갖추려면 최소한 10년은 걸릴 것으로 내다보며 지난 21일 사고로 신형 전함을 시험하고 장비를 설치하는 일정이 더 늦춰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북한은 제한된 작전 능력에도 불구하고 이런 해군 함정들을 공개함으로써 공격을 위한 해상 능력 강화에 집중하겠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