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포스코그룹, 에너지 사업 확장…LNG 전용선 도입
-
3회 연결
본문
포스코그룹이 에너지 사업 확대에 나선다. 가스전 개발부터 액화천연가스(LNG) 운송까지 직접 나서면서 LNG 밸류체인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지난 23일 전라남도 목포시 HD현대삼호에서 그룹 최초 자체 LNG 전용선인 ‘HL 포르투나(FORTUNA)호’ 명명식을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 ‘FORTUNA’는 라틴어로 ‘행운’이라는 의미다. 전용선은 오는 27일 인도 후 시운전을 거쳐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LNG 운송에 투입될 예정이다.

제재승 SMBC 본부장, 김재을 HD현대삼호 사장, 이유경 포스코 부사장, 서명득 에이치라인해운 사장, 이계인 포스코인터내셔널 사장이 단체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 포스코인터내셔널
'HL 포르투나'호는 전장 299m, 폭 46.4m, 적재용량 17만4000㎥급 LNG 운반선으로, 북미산 LNG 운송에 최적화된 것이 특징이다. 한 번에 대한민국 전체가 12시간 사용할 수 있는 천연가스를 실어 나를 수 있다. 또 LNG를 주연료로 사용하는 이중연료 시스템과 운송 중 증발된 가스를 다시 냉각해 연료로 복원하는 고효율 재액화 설비를 갖춰 국제 환경규제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HL 포르투나'호는 2026년부터 미국 루이지애나 셰니에르 터미널에서 선적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운항에 들어갈 예정이다. 전용선은 광양LNG터미널 기준 연간 5회 이상 왕복하며, 포스코인터내셔널의 북미 장기계약 LNG 물량을 운송할 예정이다. 앞서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셰니에르 에너지와의 연간 40만톤(t) 규모 장기 계약, 멕시코 퍼시픽과 70만t 규모의 장기 계약을 체결하는 등 그룹의 LNG 수입 기반을 꾸준히 확장해왔다. 멕시코 퍼시픽 프로젝트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해당 물량의 안정적인 운송을 위한 전용선도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 관계자는 “이번 전용선 도입으로 가스전 생산부터 도입, 저장, 발전까지 아우르는 그룹의 LNG 밸류체인이 한층 강화돼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며 “앞으로도 추가 전용선 확보를 통해 공급 안정성과 LNG 트레이딩 효율을 높이고, 글로벌 공급망 대응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포스코그룹은 지속적으로 에너지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2000년 미얀마 가스전 개발을 시작으로 에너지 개발 사업에 본격 진출한 포스코그룹은 지난해에는 광양 LNG터미널을 준공했다. 광양LNG터미널은 약 20년간 총 1조450억원을 투자한 프로젝트다. 가스전 탐사부터 생산, 저장, 발전에 이르기까지 포스코그룹의 LNG 전 밸류체인을 담당하는 핵심 기지 역할을 하고 있다.
에너지 사업 부문은 수익성 확보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지난해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에너지 부문 영업이익은 6117억원으로 전년 대비 20% 성장했다. 전체 영업이익 1조1169억원 가운데 55%를 에너지 부문에서 책임지고 있다. 포스코그룹 관계자는 “LNG를 그룹의 신성장 축으로 설정하고, 탐사·생산, 운송·저장, 발전을 아우르는 풀 밸류체인을 구축을 위해 지속적으로 투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