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인도 아이폰 공장서 중국인 직원 철수”…‘중국 압력 가능성’ 관측도

본문

17515045214325.jpg

애플 로고. 로이터=연합뉴스

애플 아이폰을 제조하는 대만 위탁생산 업체 폭스콘이 인도에 파견 나가 있는 중국인 직원들에게 철수할 것을 지시했다.

아이폰 생산기지를 인도에 빼앗기지 않으려는 중국 당국의 압박 때문이라는 해석도 나왔다.

2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은 익명의 소식통들을 인용해 폭스콘이 최근 인도 내 아이폰 공장에서 일하는 중국인 엔지니어와 기술 인력들에 귀국을 종용했고, 300명 이상의 중국인 직원들이 귀국했다고 보도했다.

현재 인도 공장에는 주로 대만 출신 지원 인력만 남아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폭스콘은 중국에 대규모 아이폰 생산공장을 갖고 있으며 전 세계에 판매되는 아이폰의 대부분을 여기서 생산한다.

애플의 아이폰 생산기지 다변화 전략에 따라 폭스콘은 인도에도 아이폰 공장을 설립해 현지 생산량을 늘리고 있으며, 중국 공장의 기술 인력이 인도 공장에 파견돼 현지 직원들을 교육하고 있다.

폭스콘의 중국인 직원 귀국 조치는 약 두 달 전 시작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당국이 올해 초 규제 기관과 지방 정부에 인도와 동남아시아 등지로 기술 인력이나 장비 이전이 이뤄지지 않도록 압력을 가한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블룸버그는 해석했다.

애플은 현재 인도에서 신제품 아이폰 17 생산을 늘릴 계획이어서 직원 철수가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관계자들은 중국인 직원 철수는 현지 인력 교육과 기술 이전을 지연시켜 현지 생산 비용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애플과 폭스콘 측은 블룸버그의 확인 요청에 응답하지 않았다.

최근 중국 정부는 기술과 숙련 인력, 전문 장비의 중국 이탈을 막기 위해 여러 조치를 취하고 있다. 반면 인도나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미·중 갈등으로 인해 기업들이 중국 일변도의 생산 거점을 다각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글로벌 기업들을 유치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중국의 기술 인력들은 인도 폭스콘 공장의 직원 교육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인도는 4년 전부터 아이폰 대량 생산을 시작했으며, 현재 전 세계 생산량의 5분의 1을 차지한다.

애플은 내년 말까지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의 대부분을 인도에서 생산할 계획을 세웠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인도가 아니라 미국에서 제품을 생산해야 한다며 애플의 계획에 비판적인 입장이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339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