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서울 아파트값 고공행진 지속....불길 번진 양천·과천·분당 폭등

본문

17515201051134.jpg

서울 남산에서 내려다 본 아파트 단지. 뉴시스

서울 아파트값 오름세가 소폭 꺾였지만 여전히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서울과 경기 일부 지역은 ‘풍선 효과’가 나타나며 급등세를 나타냈다.

3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6월 다섯째 주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4% 올랐다. 상승폭은 전주(0.43%)보다 소폭 줄었으나, 23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한국부동산원은 “주요 선호지역 매수 문의가 줄면서 서울 전체 상승폭이 소폭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공표는 지난달 24일부터 30일까지 조사치다. 같은 달 28일부터 시행된 6·27 대출 규제 효과가 일부 반영됐다.

17515201053006.jpg

김경진 기자

6·27 규제의 ‘타깃 지역’으로 꼽히는 성동구는 전주 대비 0.89% 상승했다.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많이 오른 전주(0.99%)보단 오름폭이 축소됐지만 여전히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마포구(0.98→0.85%)와 강남구(0.84→0.73%), 서초구(0.77→0.65%), 송파구(0.88→0.75%) 역시 상승폭은 줄었지만 과열 양상은 여전했다.

재건축 기대감이 커진 서울 양천·영등포구와 ‘준강남’으로 불리는 경기 과천시, 성담 분당구는 급등했다. 양천구는 전주 대비 0.6% 오르며 통계 집계 이후 주간 기준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영등포구 역시 0.66% 오르며 전주(0.48%)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지난 3월 말 서울 토허제 확대 시행 이후 풍선효과로 집값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 경기 과천시는 전주 대비 0.98% 올랐다. 6년 10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이다. 성남 분당구는 1.17%나 올랐다. 이 역시 2018년 1월 마지막 주 이후 최대치다.

17515201054989.jpg

김경진 기자

관심은 6·27 규제가 시장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다음 주 이후로 모인다. 채상욱 커넥티드그라운드 대표는 “워낙 고강도 규제여서 시장이 빠르게 식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이미 집값 불길이 번진 터라 진화하는 데 상당 기간이 걸릴 수 있다는 지적이 많다. 문재인 정부 때인 2019년 12월에 발표된 기습 대출 규제가 좋은 예다. 당시 정부는 15억원 이상 아파트에 대출을 전면 금지했다. 이후 서울 집값은 발표 2주 후부터 상승 폭이 줄었지만 15주가 지나서야 하락 전환했다. 지난해 9월 2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 후에도 2주 후부터 상승 폭이 감소하다가 12월 마지막 주에 보합세(0%)를 나타냈다.

김규정 한국투자증권 부동산전문위원은 “고강도 규제가 나오면 시장은 시차를 두고 반응한다”며 “통상적으로 규제 효과는 6개월~1년 이상 지속하기 어렵기 때문에 공급 확대를 포함한 추가 대책이 나와야만 집값 안정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취임 후 첫 기자회견에서 “이번 대출 규제는 맛보기 정도에 불과하다”며 “다 근본적인 수요 억제책은 이거 말고도 많다”고 말했다. 집값 과열이 이어질 경우 추가 규제를 내놓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은 "투기적 수요가 부동산 시장을 매우 교란하고 있어 전체 흐름을 바꿀까 한다"고도 했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이달부터 부동산 이상 거래와 불법 행위 합동점검을 서울 전역과 경기 과천·성남 등지로 확대·강화한다고 밝혔다. 그간 합동점검은 서울 강남 3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88개 단지를 대상으로 진행했었다. 국토부는 ▶자금조달계획서 내용 및 증빙자료 검증 ▶사업자대출 용도 외 유용 등 대출 규정 위반 ▶토지거래허가 실거주의무 등 의무 이행 여부 ▶외국인 부동산거래 불법행위 여부 등을 집중 점검할 방침이다. 또한 고가주택 신고가 거래, 법인 명의 위법 의심 거래, 자기자금 비율이 낮은 편법증여 의심 거래 등을 전수 조사할 계획이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705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