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집값 풍선효과에 양천·영등포·과천·분당 확 뛰었다
-
4회 연결
본문
서울 아파트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서울·경기 일부 지역은 ‘풍선 효과’가 나타나며 급등세를 나타냈다.

김경진 기자
3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6월 다섯째 주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4% 올랐다. 상승 폭은 전주(0.43%)보다 소폭 줄었으나, 23주 연속 상승세다. 한국부동산원은 “주요 선호 지역 매수 문의는 줄었다”고 설명했다. 이번 공표는 지난달 24일부터 30일까지 조사치다. 같은 달 28일부터 시행된 6·27 대출 규제 효과가 일부 반영됐다. 지역별로 보면 성동구(0.99%→0.89%), 마포구(0.98→0.85%), 강남구(0.84→0.73%), 서초구(0.77→0.65%), 송파구(0.88→0.75%) 등이 상승 폭을 줄였지만 과열 양상은 여전했다.
재건축 기대감이 커진 서울 양천·영등포구와 ‘준강남’으로 불리는 경기도 과천시, 성남시 분당구는 급등했다. 양천구는 전주 대비 0.6% 오르며 통계 집계 이후 주간 기준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영등포구 역시 0.66% 오르며 전주(0.48%)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지난 3월 말 서울 토허제 확대 시행 이후 풍선 효과로 집값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 경기도 과천시는 전주 대비 0.98% 올랐다. 6년10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이다. 성남시 분당구도 1.17%나 올랐다. 이 역시 2018년 1월 마지막 주 이후 최대치다.

김경진 기자
관심은 6·27 규제가 시장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다음 주 이후로 모인다. 채상욱 커넥티드그라운드 대표는 “워낙 고강도 규제여서 시장이 빠르게 식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이미 집값 불길이 번진 터라 진화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지적이 많다. 김규정 한국투자증권 부동산전문위원은 “고강도 규제가 나오면 시장은 시차를 두고 반응한다”며 “통상적으로 규제 효과는 6개월~1년 이상 지속하기 어렵기 때문에 공급 확대를 포함한 추가 대책이 나와야만 집값 안정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금융위원회와 국토교통부 등 주요 부처는 이날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열고 부동산 대출 규제를 회피하기 위해 사업자대출금을 주택 거래에 활용할 경우, 해당 대출금을 즉시 회수하고 ▶1차 적발 시 1년 ▶2차 적발 시 5년간 신규 대출을 금지하기로 했다. 또한 국토교통부는 이달부터 부동산 이상 거래와 불법 행위 합동점검을 서울 전역과 경기도 과천·성남 등지로 확대·강화한다. 국토부는 ▶자금조달계획서 내용 및 증빙자료 검증 ▶사업자 대출 용도 외 유용 등 대출 규정 위반 ▶토지거래허가 실거주 의무 이행 여부 ▶외국인 부동산 거래 불법행위 등을 집중 점검할 방침이다. 또한 고가 주택 신고가 거래, 법인 명의 위법 의심 거래, 자기자금 비율이 낮은 편법 증여 의심 거래 등은 전수조사할 계획이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