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인도 “보복관세” EU “잠정합의”…美 상호관세에 분주한 세계
-
2회 연결
본문

지난 4월 미국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세계 각국에 부과할 상호관세율을 발표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유예가 오는 8일(현지시간)로 끝난다. 이런 가운데 세계 각국은 미국발 관세 부담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의 ‘브로맨스’를 강조했던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인도(상호관세율 26%)는 강경 노선을 택했다. 인도는 5일 세계무역기구(WTO)에 미국을 상대로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통보했다. 인도 정부는 통지문에서 “미국이 인도에 부과하는 관세는 총 7억 2500만 달러(약 1조 원)에 달한다”며 “인도는 이에 상응하는 금액만큼 미국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인 관세율이나 관세 부과 대상 품목은 밝히지 않았다.

지난 2월 미국 백악관을 방문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왼쪽)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중 악수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당초 인도는 관세 협상에 가장 적극적인 나라였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후인 지난 2월 해외 정상 중 4번째로 미국을 찾아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고 연내 무역협정 체결을 약속했다. 지난 4월 상호관세 부과 발표 뒤에도 여러 번 협상단을 미국에 보내 무역 합의 도달에 매달렸다.
하지만 자동차 부품의 미국 수출 등에서 이견을 보이며 협상이 교착됐다. 미국은 인도산 자동차와 그 부품에 5%의 품목 관세를 매겼다. 인도는 이 조치가 인도 수출에 28억9000만 달러(약 3조9,000억 원)어치의 영향을 미친다며 난색을 보였다. 미국은 인도의 농산물 수입을 원하지만, 인도는 농업 및 유제품 시장 개방을 꺼렸다.
이에 인도는 강경노선으로 선회했다. 상호관세 유예가 끝나는 8일까지 무리해서 협상을 마무리하지 않겠다는 뜻도 밝혔다. 피유시 고얄 인도 상공부 장관은 “양국 모두 이익이 되는 합의여야 한다”며 “인도는 어떤 무역 합의도 마감일이나 시한을 기준으로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우르술로 폰 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이 지난달 27일 벨기에 브뤼셀 EU 본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유럽연합(EU·20%)은 일단 상호관세 부과는 막자는 생각이다. 미 정치매체 폴리티코는 품목별 관세 등 협상 쟁점이 하나도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EU가 현재 상태로 미국과 잠정 합의를 타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잠정 합의로 상호관세가 9일부터 다시 부과되는 것만 우선 막겠다는 것이다. 비(非) EU 회원국인 스위스도 협상이 계속되는 동안에는 원래 부과한 31%가 아닌 기본관세 10%만 자국에 부과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AFP통신이 전했다.
일본(24%)도 고전 중이다. 관세 협상 대표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이 지난 3일과 5일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과 전화 통화를 했고, 7차례에 걸친 고위급 협상을 미국과 벌여왔지만 큰 진전이 없었다. 일본 정부는 다음 주 미국 측과 8차 협상을 벌이는 방안을 타진 중이다.
반면 협상 타결이 임박한 국가도 있다. 인도네시아는 지난 4일 미국과 핵심광물, 에너지, 국방 협력, 시장 접근을 아우르는 무역 합의 타결이 임박했다고 확신한다고 밝혔다. 캄보디아 정부도 이날 성명을 내고 미국과 상호 무역에 대한 기본 틀 합의에 도달했으며 합의문을 곧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4월 발표된 인도네시아와 캄보디아의 상호관세율은 각각 32%와 49%였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