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지난해 폐업자 100만명 첫 돌파…소매업·음식점이 절반이었다

본문

지난해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가 사상 처음으로 100만 명을 넘어섰다. 내수 부진의 영향을 많이 받는 소매업과 음식점업 폐업자가 전체의 약 45%를 차지했다.

17517863144214.jpg

서울의 한 골목상권. 연합뉴스

6일 국세청 국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개인·법인을 포함해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는 100만8282명으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2만1795명 증가했다. 폐업자가 100만 명을 넘어선 건 1995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처음이다.

폐업자 수는 2019년 92만2159명에서 3년 연속 감소해 2022년 86만7292명까지 줄었다. 그러다 지난해까지 2년 연속 증가하며 100만명 대에 진입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부터 누적된 사업 부진과 고금리로 인한 연체율 악화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폐업률도 9.04%로 전년(9.02%)보다 소폭 상승했다. 폐업률은 폐업자를 포함한 전체 사업자 중 폐업자의 비중이다. 지난해 영업을 했던 사업자 중 대략 10곳 중 1곳은 문을 닫았다는 의미다.

폐업은 내수 밀접 업종에서 특히 두드러졌다. 전체 52개 업종 가운데 소매업 폐업자가 29만9642명으로 전체의 29.7%를 차지했다. 음식점업(15.2%), 부동산업(11.1%), 도매 및 상품중개업(7.1%) 등이 뒤를 이었다. 폐업 사유는 ‘사업 부진’이 50만6198명으로 가장 많았다.

올해도 생활 밀착 업종을 중심으로 폐업자가 늘고 있다. 1분기 커피음료점은 9만5337개로 전년 동기 대비 743개 줄었다. 대표적인 자영업 창업 업종인 편의점(5만3101개) 역시 창업보다 휴·폐업이 늘면서 455개 감소했다. 팬데믹 때도 수가 증가하던 업종이었지만 내수 부진이 길어지면서 생존율이 떨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빚을 갚지 못하는 자영업자도 속출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기준 취약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은 12.24%로 2013년 2분기 말(13.54%)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취약 자영업자는 다중 채무자이면서 저소득이거나 저신용인 차주를 말한다.

자영업 줄폐업은 많이 창업하고 많이 닫는 구조에 따른 출혈 경쟁, 은퇴 연령층의 일자리 부족 등이 근본적인 원인으로 꼽힌다. 정부가 올해 들어 두 차례에 걸쳐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며 긴급 수혈에 나섰지만 빠른 회복을 기대하긴 어려울 거란 관측에 힘이 실리는 이유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고금리·고물가로 인한 실질 소득이 감소가 소비 둔화로 이어지고 있다”며 “폐업 가속화를 막을 구조적인 대응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91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