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특검, 김계환 소환…“VIP 격노, 박 대령이 안다” 녹취록 조사
-
4회 연결
본문
순직해병 수사방해 의혹 등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특검) 수사팀이 7일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하고 있다. 지난 2일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조사에 이어 핵심 관계자 소환으로 ‘VIP 격노설’을 둘러싼 의혹 규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순직해병 특검팀은 이날 김 전 사령관을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이날 오전 10시 20분쯤 특검사무실에 도착한 김 전 사령관은 “박정훈 대령에게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격노를 알린 적 없다는 입장은 여전한가”, “민간인 신분으로 왔는데 특검 수사에 협조할 계획인가” 등 질문에 답하지 않고 조사실로 들어갔다.
특검팀은 김 전 사령관을 상대로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과 대통령실로부터 어떤 지시를 받았는지를 집중적으로 추궁했다. 김 전 사령관은 VIP 격노설을 언급하는 등 지난해 7∼8월 채 해병 사망 경위를 조사한 박정훈 대령에게 외압이 가해지는 과정에 연루됐단 의혹을 받고 있다. 특히 김 전 사령관은 2023년 7월 31일 박 대령에게 “브이아이피(VIP)가 격노했다”고 전한 것으로 의심받고 있다.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이 7일 오전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 특검 사무실에 조사를 받기위해 출석하고 있다. 우상조 기자
이날 오후 조사를 맡은 이정민 부부장검사는 김 전 사령관에게 채 해병 사망 사건 당시 해병대 파견 방첩부대장이었던 문모 대령과 김 전 사령관의 통화녹음 파일을 제시했다고 한다. 앞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김 전 사령관의 휴대전화에서 복원한 해당 녹음파일에는 “박 대령이 VIP 격노에 대해 알고 있고 폭로 가능성이 있으니, 이를 막아야 한다”는 취지의 대화가 담겼다고 한다. 국군방첩사령부 소속으로 당시 해병대 파견부대장이었던 문 대령은 VIP 격노설을 김 전 사령관에게 전해 들었다고 지목된 인물이다.
‘안보실 회의’ 관계자도 조사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지난해 9월 3일 오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중앙군사법원에서 열린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 항명 혐의 7차 공판에 증인으로 출석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특검팀은 이날 오후 2023년 7월 31일 대통령실에서 열린 안보실 회의 상황을 잘 아는 한 관계자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당시 안보실 회의에서 윤 전 대통령이 임 전 사단장 등을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로 경찰에 이첩하는 내용의 수사 결과를 보고 받고 크게 화를 냈다고 의심하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은 회의 직후인 오전 11시54분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에게 전화해 “이런 일로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할 수 있겠느냐”며 격노했단 의혹도 받고 있다.
윤 대통령이 실제로 이런 말을 했는지는 밝혀진 적 없다. 수석보좌관회의가 끝날 때쯤인 오전 11시 54분 이 전 장관이 대통령실이 사용하는 ‘02-800’ 번호로 걸려온 전화를 받아 2분 48초간 통화했고 본인의 비서 역할을 한 박진희 당시 군사보좌관의 전화로 김 전 사령관에게 전화를 걸었단 사실은 공수처 수사에서 파악됐다. 경찰 이첩을 보류하고 언론 브리핑을 취소하라고 지시했다는 의혹이 불거진 통화다.
특검팀은 이날 김 전 사령관에게 채 해병 사망 당시 경위에 대해서도 물었다. 임 전 사단장의 허위보고 의혹에 대한 질의도 이어졌다. 임 전 사단장이 채 해병 사망 이후 김 전 사령관에게 사고 원인을 강둑이 무너졌기 때문이라고 허위 보고했단 의혹이다. 김 전 사령관은 2023년 8월 군 검찰 조사에서 “국방부 장관이 ‘사령관이 잘못 보고했네’라고 말했고 강둑 부분이 무너져서 물에 빠졌다는 해병대 1사단의 보고 내용을 동일하게 보고했기에 저도 ‘잘못 보고 드렸다’고 말씀드렸다”고 진술했다. 김 전 사령관은 특정 질문에 진술을 거부하지 않았다고 한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