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이젠 집에 나무 안 쓸끼다"…'괴물산불 100일�…

본문

17519194724851.jpg

7일 오후 경남 산청군 시천면 중태마을에서 산불 피해 주택 복구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안대훈 기자

“원래 원목 집이었는데, 지금 짓는 집 외관엔 나무를 항개도(하나도) 안 쓸끼다. 돌하고 기와를 쓰고, 외장도 불연재(不燃材)로 할끼다. 오로지 불에 안 타는 걸로!”

7일 오후 경남 산청군 시천면 한 야산의 6~7부 능선에 있는 한 주택 복구 현장. 뙤약볕 아래 인부들과 구슬땀을 흘리고 있던 A씨(60대) 부부는 “평생 살 집인데 두 번 다시 같은 재앙을 당할 순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A씨 부부는 지난 3월 21일 산청에서 발생한 대형산불 이재민이다. 강풍과 함께 불길이 확산한 같은 달 22일 오후, 최초 발화지점에서 직선거리로 6㎞ 가량 떨어진 A씨 부부 집도 화마(火魔)를 피하지 못했다.

당시 산불로 5년 전 부산에서 산청으로 귀촌한 A씨 부부 보금자리는 한순간에 잿더미가 됐다. 집부터 세간살이까지 약 6억원이 들어간 집이었다. A씨는 “불똥이 날아와 (집 주변) 소나무에 떨지더니 ‘펑’하고 터지뿌데, 그러곤 ‘불비’가 쏟아졌다”고 치를 떨었다. A씨 집 주변에 쌓인 불탄 소나무 더미가 당시 상황을 짐작하게 했다. 그때부터 이날까지 A씨 부부는 108일째 임시거주시설인 한국선비문화연구원에서 지내고 있다.

17519194727082.jpg

7일 오후 경남 산청군 시천면 외공마을 산불 피해 주택 앞 불 탄 소나무에서 새순이 돋아나고 있다. 안대훈 기자

A씨 부부는 산불 발생 약 3개월 만에 새 출발을 준비 중이다. 지난달 24일부터 주택 복구 작업에 들어가면서다. 불 탄 잔해를 모두 걷어낸 집터엔 새 집의 뼈대가 될 경량 철골이 세워져 있었다. 새 집 규모는 99㎡(약 29.9평)로 총 복구비는 2억4000만원이라고 했다. 완공까진 두 달 반 정도 걸릴 전망이다. A씨 부부는 “추석 명절은 집에서 보낼 수 있을 것 같다”면서도 “재난지원금만으론 부족해서 장기 적금도 깨고 대출도 받아야 할 것 같다”고 했다.

산청·하동 산불이 잡힌 지(3월30일) 이날로 100일이 됐다. 하지만 여전히 집으로 돌아가지 못한 이재민이 적지 않다. 새카맣게 불에 탄 소나무에서 새순이 돋는 등 산림은 조금씩 회복되고 있지만, 주택은 아직 복구되지 않아서다. 상당수는 A씨처럼 지자체에서 마련한 임시거주시설에 머물며 주택 복구를 준비 중이다.

경남도·산청군·하동군에 따르면 7일 현재 임시 시설에 거주 중인 산청·하동 이재민은 각각 23명(15가구), 2명(1가구)으로, 총 25명이다. 친척 집 등에 머무는 이재민도 몇몇 있다. 이번 산불로 전소된 산청·하동 주택은 28동으로 집계됐다.

17519194729422.jpg

7일 오후 경남 산청군 시천면 외공마을에 산불로 전소된 집터가 주택 복구를 앞두고 있다. 안대훈 기자

산청 지역 26동 중 16동은 집 주인이 주택 복구 의사 밝힌 상태다. 16동 중 4동은 건축 허가를 받았고, 12동은 설계를 진행 중이다. 나머지 10동 중 5동은 비용 문제 등으로 주택 복구 여부를 결정하지 않았고, 다른 5동은 다른 지역에 집이 있다는 등 이유로 복구하지 않기로 했다. 하동에서도 2가구 중 1가구는 주택 설계에 들어갔고, 나머지 1가구는 새 주택을 매입할 계획이다.

경남도 등 지자체는 “추석 전까지 주택 완공”이 목표다. 산불 피해 주택 면적이 대다수 20평 내외로, 착공에 들어가면 2~3개월 내에 완공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화마가 덮친 외공마을 주민 하모(70대)씨는 “(집 잃은) 분들이 ‘자녀·손자 앉을 방 한 칸 없다’, ‘추석 명절 전까진 집을 다 지어야 될낀데’라고 걱정한다”며 “빨리 복구해서 명절 때 웃으며 만나고 싶다”고 말했다.

주택 복구 비용은 여전히 걸림돌이다. 지자체는 경량 철골로 설계하면 평당 600만~700만원 정도 비용이 들 것으로 보고 있다. 20평이면 1억2000만원인 정도가 든다. 하지만 지급된 재난지원금은 8000만~9600만원(추가 지원금 6000만원 포함)으로, 수천만원이 부족하다. A씨처럼 기존 집이 30~40평 규모인 곳은 같은 크기로 지으려면 더 많은 비용이 들 수밖에 없다.

17519194731683.jpg

지난 5월 9일 경남 산청군 시천면 외공마을에서 경남간호고 학생들이 산불 피해 주민들과 현장 자원봉사자의 혈압을 측정하는 등 건강 체크를 하고 있다. 사진 경남간호고

다행히 도움의 손길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말 기준, 이재민 성금은 산청 약 53억원, 하동 1억4800만원이다. 성금이 분배되면 주택 복구 비용을 충당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지자체는 내다봤다. 또 건축사회는 보통 500만원 수준인 설계·감리비를 50% 감면, 토목용역협회는 1건당 100만원 감면, LX한국국토정보공사는 측량 수수료를 무료로 처리해주기로 했다.

경남 최초 간호 전문 특성화고로 산청에 있는 ‘경남간호고’ 학생들은 앞서 지난 5월 9일 산불 피해를 당한 외공마을을 방문, 혈압·혈당 측정 및 건강상담 등 건강 체크를 실시한 동시에 마을 철거 작업 중 상처를 입은 봉사자를 상처를 소독하는 봉사활동도 펼쳤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36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