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식당 소주 가격 열 달 만에 올랐다…'미끼 전략' 끝난 이유
-
2회 연결
본문

서울의 한 식당 주류 냉장고에 소주와 맥주 등이 채워져 있다. 뉴스1
술집이나 식당에서 파는 소주 가격이 열 달 만에 상승했다. 맥주 가격도 지난해 계엄 사태 이후 처음으로 올랐다.
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외식 소주 품목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0.1% 올랐다. 지난해 9월(-0.6%) 이후 9개월간 이어진 하락세가 반전된 것이다. 외식 맥주도 지난달 0.5% 오르며 지난해 12월(-0.4%) 이후 7개월 만에 반전됐다.
16개월간 하락하던 소매점에서 파는 소주 가격 역시 지난 5월에 0.2% 오른 데 이어 지난달에도 0.1% 상승했다. 소매점 맥주 가격은 지난달 3.1% 올라 지난해 10월(4.3%) 이후 8개월 만에 가장 컸다.
외식 소주와 맥주 가격은 그동안 이례적으로 장기간 하락세를 보였다. 외식 소주 가격은 2005년 8월(0.1%)부터 지난해 8월(0.6%)까지 19년 1개월 연속으로 상승했고, 외식 맥주는 1999년 12월(1.3%)부터 지난해 11월(0.9%)까지 무려 25년간 계속 올랐다.
이런 가운데 최근 소주·맥주 가격 하락은 외식업계가 심한 소비 부진에 대응하는 과정에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자영업자들이 손님을 잡으려 술을 공짜로 제공하거나 할인하는 '미끼 전략'을 쓰면서 물가지수가 내린 것이다. 그러다가 이번에 술 물가가 반등한 것은 이러한 미끼 전략이 끝났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업체별로 영업 프로모션을 위해 술값을 할인하곤 하는데 통상 행사 기간이 1∼2개월인데 비해 이번엔 꽤 길게 이어졌던 것 같다"고 말했다.
외식 술값 할인 종료는 새 정부 출범으로 인해 소비심리가 개선될 것이란 기대감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한국은행의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지난해 12월 비상계엄으로 100 이하로 급락한 뒤 4월(93.8)과 5월(101.8), 6월(108.7) 석 달 연속 개선되는 흐름을 보였다.
한편으론 일부 한계 자영업자가 술값 할인 행사를 하고도 버티지 못해 폐업하면서 가격 원복 효과가 나타난 사례도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국세청 국세통계포털(TASIS) 사업자 현황을 보면 지난 5월 호프 주점은 2만1891개로 1년 전보다 1982개(-8.3%) 줄었다. 5월 숙박음식업 취업자가 3년 6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인 6만7000명 감소한 이유가 주점 및 음식점업 취업자 수 축소 때문이라고 통계청이 분석한 점도 이를 뒷받침한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빚 부담 등으로 궁지에 몰린 영세 자영업자들이 극단적 술값 할인 전략까지 동원했던 것으로 해석된다"며 "대선 이후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일부 숨통이 트이자 가격을 원래대로 돌린 경우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