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브릭스, 트럼프 관세 위협에 반발…룰라 “황제 필요 없다”

본문

1751925523784.jpg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실바 브라질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브릭스(BRICS) 정상회의 기자회견에서 연설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러시아와 중국 등 비(非)서방 신흥경제국 연합체인 브릭스(BRICS) 회원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추가 관세 부과 위협에 반발하며 회원국 간 결속 의지를 강조했다.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진행된 17차 브릭스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 현지 기자회견에서 “미국과 같은 거대 국가의 대통령이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세계를 겁박하는 건 매우 잘못된 일”이라며 “우리는 황제를 원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이날 회견에서 룰라 대통령은 “사람들은 주권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잘 알아야 한다”며 “그(트럼프)는 세상이 변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트루스소셜에서 브릭스의 ‘반미 정책’에 동조하는 모든 국가에 추가로 1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발언은 브릭스 정상회의 선언문이 공개된 직후 나왔다. 선언문에는 이란 핵시설에 대한 군사 공격을 규탄하고 무분별한 관세 부과가 세계 교역 질서를 위협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다만 선언문 자체에 ‘트럼프’가 적시되진 않았다.

이와 관련,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릭스가 미국 이익을 훼손하려 한다고 (대통령은) 보고 있다”며 “대통령이 브라질에서 진행된 브릭스 정상회의를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고 러시아 매체 리아노보스티는 보도했다.

‘남미 최대 경제국’인 브라질 입장에서 볼 때 미국의 관세 부과는 되레 미국에 부정적 영향을 가져올 것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세우수 아모링 브라질 대통령실 국제관계 특별보좌관(특보)은 CNN 브라질과의 인터뷰에서 인터뷰에서 “미국의 관세는 ‘제 발에 총 쏘기’와 같다”며 “브라질은 이미 대미 교역에서 큰 폭의 적자를 기록 중”이라고 지적했다. 브라질 정부에서 공개한 교역액 수치를 보면 지난해 브라질은 대미 교역에서 400억 헤알(68억 달러·약 10조원) 적자를 기록했다.

아모링 특보는 “사실 미국의 관세는 가장 큰 문제는 아니다”라며 “글로벌 교역 시스템의 변화, 즉 다자간 협상 대신 양자 간 협상을 선호하는 방향으로의 전환이 더 중대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아모링 특보는 “항상 위협과 관세를 내세운다면, 다른 국가들은 대안을 찾아 서로 협상할 것”이라면서 브릭스 회원국의 연대를 통한 공조 가능성을 시사했다.

정상회의 참석차 브라질을 방문 중인 시릴 라마포사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도 “브릭스 같은 매우 긍정적인 연합체의 움직임이 있을 때, 이를 부정적으로 보고 해당 참여국을 벌주려는 듯한 모습이 있다는 건 정말 실망스러운 일”이라며 “힘이 곧 옳음이 될 수는 없다”고 말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라마포사 대통령은 “브릭스는 다른 어떤 강대국과도 경쟁을 추구하지 않는다”면서 논의를 통합 합의 정신을 역설했다.

2009년 창설된 브릭스는 10여년 넘게 5개국(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 이어오던 회원국 규모를 최근 11개국(이집트·에티오피아·이란·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인도네시아 합류)으로 불리면서 영향력을 대폭 키웠다.

브릭스 국가들의 달러 기준 명목 국내총생산(GDP) 비중은 세계 경제의 약 39%를 차지한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102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