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日에 1% 관세 더 올린 트럼프…이시바 총리 “매우 유감”

본문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일본 총리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25% 관세 부과 방침에 “강한 유감”을 드러냈다.

이시바 총리는 8일 오전 총리 관저에서 국무위원에 해당하는 각료들이 참석한 가운데 종합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상호 관세 대책을 논의했다. 이시바 총리는 이날 회의에서 “일·미 쌍방이 타협할 수 없는 점이 남아 있어, 유감스럽게도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고 밝혔다. “안이한 타협을 피해, 요구해야 할 것은 요구하고, 지켜야 할 것은 지킬 수 있도록 엄격하게 협의를 계속해 왔기 때문”이라는 부연도 했다. 지난 4월 미국 정부가 발표한 상호관세 24%보다 1%만 늘어난 수치를 받아들게 된 데에는 일본이 ‘국익’을 앞세워 협상에 나섰기 때문이라는 의미다. 그는 그러면서 “미국 측과의 거듭된 협의를 거쳐 논의에 진전도 보인다”고 평가했다.

17519520277923.jpg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8일 총리 관저에서 일본에 대한 미국의 상호관세 25% 통보 서한에 대해 "안이한 타협은 하지 않겠다"는 발언을 하고 있다. 교도·로이터=연합뉴스

일본 언론들은 미국 정부가 관세율을 올린 것이 일본과 말레이시아(25%)만 해당한다는 점을 지적했지만, 이시바 총리는 관세율에 대해 “사실상 그대로”라는 인식을 보였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30~35%라는 수치를 거론한 것에 비해 1%를 올린 것은 지난 4월 공표한 것과 큰 차이가 없다는 의미다.

트럼프 정부가 오는 8월 1일까지 상호관세 부과를 유예한 점도 강조했다. “협의 기간을 연장한 것”이라면서다. 오는 20일 참의원(상원) 선거를 앞둔 상황에서 상호관세 인상 통보를 받았지만 ‘타협하지 않는’ 자세를 강조한 셈이다. 최근 미국과의 관세 협상과 관련해 “동맹국이라도 할 말은 해야 한다”는 소신을 밝히고 있는 것과 일맥상통한 발언이다. 이시바 총리는 “추가 관세에 더해 관세율을 높이겠다고 발표한 것은 매우 유감”이라면서도 미국과의 협의를 지속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국익을 지키면서 양국 이익이 되는 합의 실현을 목표로 교섭하겠다”는 것이다. 이시바 총리는 이후 관저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안이한 타협은 피할 것”이라며 “요구할 것은 요구하고 지켜야 할 것은 지키는 것으로 전력을 다해 협상에 임하고 있다”고 밝혔다.

자민당은 격한 반응을 내놨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이날 오노데라 이쓰노리(小野寺五典) 자민당 정조회장은 “받아들일 수 있는 내용이 아니다. 편지 한장으로 통보하는 것은 동맹국에 대해 매우 무례한 행위로 강한 분노를 느낀다”고 반발했다. 일본 정부에 정식 서한이 닿기도 전에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내용이 발표된 데 대해서도 반감을 드러냈다. “외교상 무례하다”는 것이다. 고이즈미 신지로(小泉進次郎) 농림수산상은 “계속해 일본이 지켜야 할 것은 지킨다는 자세로 (교섭에) 임해야 한다”며 강경한 자세를 드러냈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일본에 대해 “대량의 쌀 부족에도 우리 쌀을 수입하지 않으려 한다”며 쌀수입을 압박해온 점을 의식한 발언이다.

17519520280323.jpg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8일 총리관저에서 미국의 상호관세 통보 서한과 관련한 대책회의를 열고 있다. 교도·로이터=연합뉴스

외무성 간부는 교도통신에 “아무도 (서한이) 논리적인 내용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8월 1일까지 3주간이 있다. 교섭을 포기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일본 정부 분위기를 전했다. NHK는 일본 정부 관계자 사이에선 “미국이 관세를 인상하더라도 일본의 제안 내용은 변함없다”는 강경 목소리도 있지만 “합의를 위한 타개책이 필요하다는 것도 일본의 현실”이라는 평가를 내놓기도 했다. 일본 정부 대변인 격인 하야시 요시마사(林芳正) 관방장관도 이날 회견을 통해 유감을 표명하며 “미국 정부 동향이나 각국 대응을 지켜봄과 동시에 우리나라 영향을 충분히 분석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하루 기다려도 베센트 못만난 日…트럼프 "자동차무역 불공평"

  • 이시바 "트럼프 불만, 오해"… 美 "日 선거, 합의에 제약"

한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이번 상호관세가 실제 부과되면 자동차 외에도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항공기 부품과 건설 기계 분야가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했다. 상호관세가 25%로 오를 경우 일본 국내총생산(GDP)이 0.4% 낮아질 것(미즈호 리서치&테크놀로지스)이라는 분석도 전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669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