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직 경찰ㆍ소방관 투입, 현장체험학습 안전 관리 강화한다

본문

1752042154495.jpg

지난 8일 부산진구 부산교육문화회관 1층 대강당에서 열린 ‘심(心)쿵 행복한 진로 체험학습’에 참가한 중학생들이 펜싱을 배우고 있다. 송봉근 기자

“현장체험학습 장소인 학교 바깥은 학생과 교사에게 모두 낯선 공간입니다. 혹시라도 돌발 행동에 학생이 다칠까 봐 가장 걱정이죠.” 부산에서 20년 가까이 초등교사로 일하고 있는 A씨는 “체험학습 이전 학생들에게 주의점 등을 단단히 이르며 여러 번 사전 교육한다. 하지만 아이들이 흥분하면 통제가 어렵고, 예상 밖 상황이 생길 수 있다”며 현장체험학습 때 안전관리 어려움을 토로했다.

소방ㆍ경찰 전문 안전인력 보강, 부산서 첫 시도  

소방ㆍ경찰ㆍ간호사 출신의 안전요원을 보강해 이런 현장체험학습의 어려움을 덜어주려는 시책이 부산에서 처음 시도된다. 9일 부산시교육청에 따르면 교육청은 지난 4일 부산시간호사회와 부산재향소방동우회, 공무원연금공단 부산지부 등 직능단체와 ‘현장체험학습 안전요원 인력풀 확대 구축’을 협약했다.

17520421547334.jpg

김석준 부산시교육감은 지난 4일 부산시교육청 회의실에서 공무원연금공단 부산지부, 부산시간호사회, 부산재향소방동우회와 '현장체험학습 안전요원 인력풀 확대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했다. 사진 부산시교육청

부산시교육청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부터 현장체험학습 땐 학생 50명당 1명 이상의 안전요원 배치가 의무화됐다. 현장체험학습 땐 해당 학교의 교장, 교감을 비롯해 동행하는 교사가 전체 일정 관리 등 인솔 책임자 역할을 맡는다. 학생 이동과 승ㆍ하차 및 교육 과정에서 교사를 도와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고, 유사시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하는 게 안전요원 역할이다.

청소년지도사나 응급구조사, 국내ㆍ외 여행 인솔자, 교원 자격증 보유자 등이 4~14시간의 안전교육을 받고 부산시 인력풀에 등록하면 현장체험학습 안전요원으로 일할 수 있다. 교육 땐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방법을 포함해 통상적인 안전 예방 및 유사시 대처 요령 등을 배운다. 시교육청에 따르면 자격자 가운데 이런 교육을 거쳐 부산 인력풀로 등록된 인원은 약 100명이다.

시교육청이 직능단체들과 한 협약은 안전 관련 직무 관련성이 높고 현장 경험이 많은  소방ㆍ경찰ㆍ간호사 출신 인력을 보강해 안전요원 전문성을 높이려는 시도다. 각 직능단체가 인원을 모집하면 시교육청이 관련 교육을 이행하는 구조로 이런 모델을 시도하는 건 부산시교육청이 처음이라고 한다. 현재까지 소방ㆍ경찰ㆍ간호사 경력자 466명이 모집됐으며 이달부터 순차적으로 교육이 진행된다.

17520421549723.jpg

지난달 24일 대한적십자사 부산지사에서 이필범 부산시교육청 장학사가 교육 대상자들에게 현장체험학습 안전요원 인력풀 등록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부산시교육청

이필범 부산시교육청 학교안전총괄과 장학사는 “현장체험학습에 동행하는 안전요원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라며 “지금은 학교가 직접 체험학습 안전요원을 선정ㆍ계약하는 구조다. 이를 학교 요청이 있을 때 교육청이 수행해 행정 부담을 줄이는 방안도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장선 “도움 되겠지만, 보완 필요”  

일선 학교 현장은 이런 조치를 우선 반기는 분위기다. 한 현직 초등교사는 “보안요원의 경우 해당 요원의 경력 등에 따라 안전사고 예방과 대응 등 역량에 차이가 크다. 소방ㆍ경찰ㆍ간호사 출신 요원은 비교적 책임감이 강하고 실무 경험이 있는 만큼  (현장체험학습 때) 선호한다”고 했다.

다만 실제 사고가 일어났을 경우 책임 소재 문제에 대해선 여전히 보완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교사들 사이에서 높다. 강원 속초에서 현장체험학습 중 초등학생이 숨진 사고와 관련, 지난 2월 인솔 교사가 유죄(금고 6월 집행유예 2년)를 선고받으면서 이런 우려는 더 커졌다.

17520421552105.jpg

차준홍 기자

부산교사노조 관계자는 “지난달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시행되며 교사가 예방 및 안전조치 의무를 다할 경우 현장체험학습 등에서 일어난 사고의 민ㆍ형사상 책임을 면할 수 있게 됐다”며 “하지만 ‘안전조치 의무’가 무엇인지에 대해선 명확한 규정이 없어 여전히 불안감이 높다. 이 문제가 해소되지 않으면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교사 기피는 계속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부산시교육청 관계자는 “교육부에 명확한 지침 등 마련을 수시로 건의해 방안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49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