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이틀째 수도권 맹렬한 폭염…파주 39도·서울 36도

본문

17520562838362.jpg

9일 서울 시내 도로 전광판에 '서울지역 폭염경보' 문구가 표출되고 있다. 뉴스1

7월 상순으로는 이례적인 폭염이 이틀째 수도권과 서쪽 지역을 강타하고 있다. 이날 서울 낮 최고기온은 36도를 기록했다. 전북 정읍은 37.8도까지 오르며 7월 낮 기온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기상청 자동기상관측장비(AWS) 기록에 따르면 경기도 파주시(광탄)는 39.2도까지 올랐다. 열대야로 인한 '불면의 밤'도 이어지고 있다. 이날까지 서울은 10일째, 청주 11일, 전주는 5일째 열대야가 지속됐다.

열대야로 인한 '불면의 밤'도 이어진다. 서울은 10일째, 청주 11일, 전주는 5일째 열대야가 지속했다. 열대야는 낮에 쌓인 열이, 더운 바람 등의 영향 탓에 밤 사이 식지 못할 때 나타난다.

기상청은 수도권과 충청, 호남 전 지역에 이틀째 폭염경보를 발령했다. 폭염경보는 체감온도가 35도 넘는 상태가 이틀 이상 지속할 것으로 예상될 때 발표된다. 이날 서울과 파주ㆍ양주ㆍ횡성ㆍ보령ㆍ무안ㆍ고창 등에서 최고 체감온도가 35도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해와 남해, 제주 연안에는 '고수온 비상'도 걸렸다. 해양수산부는 오전 11시를 기해 고수온주의보 ‘경계’ 단계를 발령했다. 지난해보다 보름 이른 시점이다. 서울시 등 지자체는 소방·의료·구호 비상대응체계를 가동하는 등 폭염 대응에 나서고 있다. 서울시는 161개 119 폭염구급대와 119개 '펌뷸런스'(소방 펌프차+앰뷸런스)를 온열 질환자 구조에 투입했다.

기상청은 “당분간 서쪽 지역과 내륙을 중심으로 최고 체감온도가 35도 내외로 오르고, 열대야도 이어지는 등 매우 무더울 것으로 예상된다”며 온열질환 예방에 힘쓸 것을 당부했다.

“용산구 공사장 40.5도…생활 공간 온도 더 높아”

175205628407.jpg

8일 오후 4시 서울시 용산구의 한 공사장 앞 기온이 40.5도로 나타나고 있다. 정은혜 기자

최악 폭염에 온열질환 사망자도 이어지고 있다. 7일 구미의 한 아파트 공사장에선 20대 베트남 노동자가 앉은 채 숨졌고, 8일 충남에선 논에서 일하던 80대와 90대가 사망했다.

김강하 기상청 영향예보지원팀장은 “특히 녹지가 없는 도심 생활 공간이나 공사장, 논밭 등 야외 온도는 표준화된 기상청 관측 기록보다 더 높을 수 있어 더욱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실제로 기자가 8일 오후 4시 방문한 서울 용산구의 한 공사장 앞은 40.5도로, 비슷한 시간에 기록된 기상청 용산구 AWS 지점 낮 최고기온(39.1도)보다 1도 이상 높았다.

동쪽은 폭염특보 완화…12일까지 동풍 영향  

이번 서쪽 폭염은 ‘동풍’이 일으키고 있다. 한반도를 덮던 고기압이 동해상으로 물러나면서 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유입되고 있는데, 이 바람이 백두대간을 넘으며 뜨거워진 탓이다.

이로 인해 서울은 1907년 기상 관측 시작한 이래 7월 상순 기준 최악의 폭염을 기록했다. 8일 종로구 송월동 서울기상관측소에서 37.8도까지 오르며 종전 기록인 1939년 7월 9일 기록(36.8도)를 깨면서다.

반면, 7일까지 극한 폭염에 시달리던 백두대간 동쪽 지역은 동풍의 영향으로 기온이 낮아져 폭염특보가 완화하거나 해제되고 있다.

공상민 기상청 예보분석관은 “동풍은 12일까지 이어지겠으나 이로 인한 폭염의 강도는 차츰 약화할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이후에는 기압계 배치가 바뀌며 남쪽에서 습하고 뜨거운 공기가 유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50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