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세종 경제 거덜난다"…해수부 이전 반대, 거리로 나선 시민들

본문

이재명 정부가 해양수산부(해수부) 부산 이전을 본격화하자 충청권에서 반발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세종시민은 시민문화제를 여는 등 거리로 나섰고, 세종시민단체도 목소리를 내고 있다. 또 해수부 노조는 단식 투쟁에 나섰다.

1752114278493.jpg

전국공무원노동조합 해양수산부지부 조합원들이 지난 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창성동 별관 국정기획위원회 앞에서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일방 추진 반대 기자회견을 갖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뉴스1

시민단체 "해수부 이전하면 세종 경제 큰 타격" 

해수부 시민지킴이단은 오는 11일 오후 7시 세종 나성동 현대자동차 옆 광장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 반대 시민문화제’를 연다. 해수부 시민지킴이단은 세종 시민 등으로 구성된 단체다. 해수부 시민지킴이단은 “이재명 대통령이 최근 ‘대전·충남·세종이 다 가지려고는 하지 않을 것’이라는 발언을 하는 등 지역 간 갈등을 조장하고 충청인을 폄훼했다”며 “이번 문화제를 통해 이 대통령 발언이 왜 문제인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자발적인 시민 참여와 여론 확산을 끌어내겠다”고 밝혔다.

행사에선 문화공연과 시민 자유발언, LED봉 퍼포먼스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이번 문화제엔 최민호 세종시장도 참석해 자유발언에 나설 예정이다.

17521142787121.jpg

해수부 노조가 지난 9일 삭발을 하고 해수부 부산 이전 반대를 주장하고 있다. 사진 해수부 노조

박윤경 해수부 시민지킴이단장은 “만약 해수부가 이전하면 정부세종청사에 있는 관련 기관이 잇따라 이전할 가능성이 크다”라며 “이렇게 되면 전국 최고 수준의 상가 공실(空室) 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세종 경제가 거덜날 수 있다”고 말했다. 박 단장은 “이명박 정부가 세종시를 기업도시로 축소하려 했던 시도도 세종 시민 저항으로 막아냈다. 이번에도 시민이 힘을 모은다면 해수부 이전을 저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세종YWCA·YWCA충청권역협의회·세종시여성단체협의회 등은 지난 9일 공동 성명을 내고 "행정수도 완성이라는 국가적 대의를 현 정권이 바꿔버린다면 국정의 신뢰도는 바닥을 칠 수밖에 없다"며 "행정수도 이전은 2003년 노무현 정부 때 '신행정수도 건설을 위한 특별법'을 만든 이후 꾸준히 추진된 국가균형발전과 지방분권 실현을 위한 시대적 과제"라고 강조했다.

1752114278944.jpg

세종시의회 김동빈 부의장이 지난 7 일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하며 1 인 피켓 시위를 하고 있다 . 사진 국민의힘 세종시당

세종 YWCA는 여성가족부 등 아직 이전하지 않은 부처의 세종 이전과 함께 대통령실·국회의 이전도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이들은 "정부는 국민과 소통을 강화하고 일관된 국가 비전과 행정수도 완성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해수부 노조, 단식 나서 

이런 가운데 국가공무원노조 해수부지부(해수부노조)는 지난 9일 국회에서 삭발식을 하고 단식 투쟁에 돌입했다. 단식은 정부 책임자의 면담 수용 시까지 이뤄질 예정이다.

노조는 기자회견에서 "해양수도는 위치가 아니라 해양정책 역량 문제이고, 속도보다 품질이 먼저"라면서 "해수부 직원들은 국가가 제시한 방향을 따를 준비가 됐지만, 무모한 질주가 아니라 책임 있는 설계와 실행의 길이 되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주장했다. 최민호 시장과 박윤경 해수부 시민지킴이단장은 10일 오후 해수부 노조 단식 현장을 찾아 격려할 예정이다.

1752114279179.jpg

해수부 시민지킴이단이 11일 세종시 나성동에서 시민문화제를 여는 등 해수부 이전 반대 운동에 나섰다.

김기웅 서천군수 "해수부 이전하면 해양바이오 큰 차질" 

충청 기초자치단체장도 반발하고 있다. 김기웅 서천군수는 지난 9일 성명을 내고 "해수부가 부산으로 가면 서천군과는 거리가 엄청나게 멀리 떨어지게 된다”라며 “이렇게 되면 서천군이 추진하는 해양바이오 산업 생태계 구축 작업에도 큰 차질이 생길 수밖에 없다”고 했다. 서천에는 해양바이오 산업진흥원·인증지원센터,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등 해양 관련 기관이 많다. 김 군수는 서해안 항만 기능도 언급했다. 김 군수는 "서해안에는 인천항, 평택·당진항, 장항항 등 국가 주요 항만이 균형 있게 분포돼 있고, 이들 항만은 수산업과 물류 산업의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북극항로 개척에 해수부 이전은 역효과”…대통령에 질의서 보낸 세종시장

  • 균형 발전 비전 제시에 역부족인 타운홀 미팅 [김성탁의 시선]

  • 충청 단체장 해수부 이전방침 반발…“李 대통령 부산 이전 재고해야”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61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