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반지의 제왕' 감독이 200억 쏟았다…멸종 대형조류 복원 도전…

본문

17522975440476.jpg

사람의 키의 2배에이르는 멸종 대형 조류 자이언트 모아 상상도. AP=연합뉴스

멸종된 대형 조류인 자이언트 모아(giant moa)를 되살리기 위한 프로젝트가 시작됐다고 영국 가디언과 텔레그래프가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의 생명공학 기업 콜로설 바이오사이언스는 최근 복원 대상 목록에 자이언트 모아를 추가했다고 밝혔다.

자이언트 모아는 과거 뉴질랜드 전역에 서식했던 거대한 날지 못하는 조류로 큰 개체는 키가 3.6m에 이를 정도였다.

이 새는 튼튼한 다리와 긴 목을 가졌고 주로 나뭇잎과 잔가지, 과일 등을 먹으며 생활했다. 하지만 15세기경 뉴질랜드에 이주한 마오리족의 무분별한 사냥 등으로 멸종한 것으로 알려졌다.

콜로설 바이오사이언스는 자이언트 모아와 유전적으로 가장 가까운 조류인 에뮤와 티나무의 DNA를 편집해 유전적으로 모아에 가까운 새를 만들어낸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 회사는 향후 5~10년 내 자이언트 모아를 복원해 알에서 부화시키고 외부와 격리된 '재야생화 장소'에 방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영화 '반지의 제왕' 시리즈를 연출한 뉴질랜드 출신 피터 잭슨 감독이 약 1500만달러(약 206억원)를 지원한 것으로 전해졌다.

잭슨 감독은 "몇 년 안에 우리가 다시 모아를 볼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은 그 어떤 영화보다 즐거움과 만족을 준다"고 말했다.

다만 자이언트 모아의 복원이 실제로 가능할지에 대해선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회의적인 시각이 나온다.

미국 버펄로대학교 진화생물학 교수 빈센트 린치는 "멸종된 생물을 복원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엄밀히 말하자면, 충분한 시간이 주어진다면 아마도 그들이 말하는 대로 에뮤가 모아와 같은 특징을 갖도록 유전적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모아가 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이식 유전자를 가진 에뮤가 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콜로설 바이오사이언스는 자이언트 모아 외에도 매머드, 도도새, 다이어울프 등 여러 멸종 동물의 복원을 시도하고 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91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