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극한폭염 가고 '폭우의 한 주' 시작…내일까지 남부 &…

본문

17523898999116.jpg

13일 광주전남 일부지역에 호우주의보가 발효된 가운데 동구 아시아문화전당 옆길에 시민들이 우산을 쓰며 걸어가고 있다. 뉴스1

13일 수도권에 극한폭염을 불러왔던 열돔(Heat Dome)이 깨지고,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14일까지 최대 150㎜ 이상의 집중호우가 예상된다. 강한 비는 이번 주 내내 전국 곳곳에 쏟아질 것으로 보여 비 피해에 대비해야 한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서해상에서 발달한 비구름대가 유입되면서 전국 곳곳에 비가 내리고 있다. 기상청은 “모레(15일)까지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비가 내리다가 오후에 그치겠다”고 예보했다.

비가 내리면서 전국에 내려졌던 폭염주의보와 경보는 모두 해제됐다. 대신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호우특보가 발표되는 지역이 점차 늘고 있다. 1시간에 30㎜가 넘는 비가 쏟아진 전남 나주와 장흥에는 호우경보가 발령됐으며, 광주광역시 등 호남 일부 지역에는 호우주의보가 내려졌다.

'이불 고기압' 와해…열대저기압 통과로 강한 비

17523899001143.jpg

13일 천리안 2A호 위성으로 본 한반도의 모습. 한반도에 자리잡았던 두 고기압이 와해되면서 비구름대가 한반도를 덮고 있다. 기상청 제공

마른장마가 끝나고 다시 전국에 비가 내린 건 한반도를 이불처럼 덮었던 두 개의 고기압(북태평양고기압·티베트고기압)이 와해했기 때문이다. 그 사이로 북쪽의 찬 공기와 남쪽의 열대 수증기가 충돌하면서 강한 비를 뿌리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열돔으로 인해 폭염 피해가 컸다면, 앞으로는 집중호우 피해에 대비해야 한다.

빗줄기는 이날 밤사이에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더 강해질 전망이다. 태풍으로 발달하지 못한 제11호 열대저압부가 대한해협을 지나 동해로 이동하면서 남부와 동해안에 매우 강한 비를 뿌릴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영남 지역에는 14일 오전까지 시간당 최대 50㎜에 이르는 물폭탄 수준의 폭우가 쏟아질 것으로 보인다. 남부지방의 13~14일 최대 누적 강수량도 150㎜ 이상이다.

17523899003173.jpg

제 11호 열대저기압 예상 경로.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된 채로 대한해협을 통과해 남부지방과 동해안에 많은 비를 뿌릴 전망이다. 기상청 제공

공상민 기상청 예보분석관은 “열대 수증기가 경상권을 향하면서 지형 효과를 받는 지역에선 시간당 50㎜ 넘는 비가 내리는 곳도 있을 것”이라며 “비가 없었던 지역에 많은 비가 내리게 되면 하천의 물이 갑자기 불어날 수 있기 때문에 접근하거나 야영을 자제해달라”고 말했다.

서울은 14일까지 10~40㎜ 상대적으로 적은 비가 예상된다. 더위는 한풀 꺾이겠지만, 높은 습도로 인해 체감 온도는 실제 기온보다 높을 수 있다.

17일 중부 장맛비…주 후반 폭염 재개 가능성

17523899005397.jpg

지난 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종각역 인근에서 우산을 쓴 시민들이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뉴스1

주 중반에는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다시 장맛비가 내릴 가능성이 있다. 16일에 2차로 북쪽 찬 공기가 내려오고, 남쪽에서는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수증기가 북상하기 때문이다. 공 분석관은 “17일에는 (장맛비가) 중부 지방에 주로 영향을 주겠고, 남쪽에는 강한 수증기가 지형에 부딪히면서 강수가 있을 것”이라면서도 “열대요란(태풍 씨앗)의 발생 가능성까지 있는 만큼 불확실성이 매우 크다”고 했다.

이번 주는 비가 이어지면서 35도를 웃돌았던 폭염의 기세는 한풀 꺾일 전망이다. 하지만, 16일 이후에는 고온다습한 남서풍이 불면서 점진적으로 기온이 오르고 체감온도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초복(20일)을 앞둔 주 후반에는 다시 폭염이 재개될 가능성도 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117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