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영화 ‘노이즈’에 이유없는 ‘노이즈’ 없어요
-
4회 연결
본문

100만 관객을 돌파한 ‘노이즈’는 사운드가 잘 설계된 영화다. [사진 바이포엠스튜디오]
공포영화 ‘노이즈’가 개봉 18일 째인 12일 오후, 100만 관객을 돌파했다.
13일 현재 관객 수는 106만 명. ‘F1 더 무비’,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 ‘슈퍼맨’ 등 할리우드 대작의 공세 속에서도 박스오피스 2, 3위를 유지하며 한국 영화의 자존심을 지켜냈다.
‘노이즈’는 층간 소음으로 시끄러운 아파트에서 주영(이선빈)이 실종된 여동생(한수아)을 찾아나서는 내용. 제목처럼 사운드가 큰 역할을 한다. 청각 장애 주인공이 느끼는 주변 소리, 현실적인 층간 소음, 신경을 거슬리게 하는 기괴한 소리 등 디테일한 사운드가 공포감을 증폭시킨다.

박용기 음향감독
영화의 사운드를 설계한 이는 박용기(47) 음향 감독. 명품 K호러로 꼽히는 ‘곡성’ ‘곤지암’에 이어 또 다시 소름 돋는 소리를 빚어냈다. 대종상(‘곡성’)과 한국영화제작가협회상(‘곤지암’ ‘올빼미’) 음향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지난 4일 서울 양재동 스튜디오에서 만난 박 감독은 “‘노이즈’는 사운드가 전면에 나서는 몇 안되는 작품 중 하나였다”고 말했다.
- 사운드 설계의 주안점을 어디에 뒀나.
- “동생이 층간 소음에 시달리는 오프닝에 신경을 많이 썼다. 그리고 주인공이 청각장애인이란 사실을 소리를 통해 끊임없이 주입시켰다.”
- 김수진 감독은 현실과 초자연적 요소의 밸런스를 맞추는 매개체가 사운드라고 했는데.
- “실종된 동생이 나타나는 후반부 장면이 대표적이다. 사고로 다리를 저는 동생이 정상적으로 걷는 모습을 강조하려고 발소리가 잘 들리게 했다. 실제인지 환상인지 여부를 관객이 판단케 하는 일종의 페이크다.”
- 클라이맥스의 소름 끼치는 사운드는 어떻게 만들었나.
- “어떤 작품이든 시그니처 사운드와 여러 개의 서브 사운드를 만든다. ‘노이즈’의 시그니처 사운드는 이를 가는 소리다. 한 인물이 이를 으드득 갈다가 죽는데, 이를 변용한 소리가 오프닝과 클라이맥스 신에 나온다. 서브 사운드는 발망치 소리다.”
- 사운드적으로 가장 만족한 장면은.
- “층간 소음 스트레스를 호소하는 아랫집 남자(류경수)가 자기 집 도어락 버튼을 칼 끝으로 누르는 장면이다. 칼로 버튼 누르는 소리, 도어락 전자음, 낡은 현관문의 이격 소리 등을 폴리 아티스트(효과음 제작자)가 만들어줬는데 사운드 발란스가 정말 좋았다.”
- ‘곡성’은 어떤 사운드를 강조했나.
- “‘곡성’의 시그니처 사운드는 빗소리였다. 주인공인 경찰 종구(곽도원)가 사건 현장에 도착하는 첫 장면의 빗소리가 유독 큰 건, ‘넌 이미 압도됐다, 벗어날 수 없다’는 주제를 전달하기 위함이었다. 거친 호흡을 담기 위해 주인공들에게 푸쉬업을 시킨 뒤 숨찬 상황에서 녹음하기도 했다. 탈진해 실려나온 배우가 여러 명이다.”
- 사운드가 가장 뛰어난 영화를 꼽는다면.
-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는 사운드의 바이블 같은 영화다. 사막의 황량한 바람 소리 만으로 긴장감을 극한까지 끌어올린다. ‘탑건: 매버릭’에선 전투기 소리가 전혀 귀에 거슬리지 않으면서도 속도감과 파워를 생생히 전달한다. 타성에 젖을 때마다 이런 영화들을 보며 자극을 받는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