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 거래량·최고가거래 모두 70%대 급감

본문

17524527195383.jpg

'6·27 대출 규제'로 매수 심리가 위축되면서 집주인들이 매도 대신 전·월세로 전환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거래 부진과 가격 조정 속에 공실을 피하려는 움직임으로, 서울 아파트 전·월세 물량 모두 증가 추세다. 전문가들은 자금 마련이 어려워진 만큼, 당분간 임대 전환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사진은 13일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뉴스1

정부가 지난달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상한을 6억원으로 제한하는 등 강도 높은 대출 규제를 발표한 이후 서울 아파트 최고가 거래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의 서울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6·27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2주간 최고가 거래량은 발표 직전 2주(6월13∼26일)보다 74% 줄었다.

강남권에서 시작된 집값 상승세는 마포, 용산, 성동 등 이른바 '한강 벨트'로 확산되며 대책 발표 직전 2주간 아파트 거래 4693건 가운데 최고가 거래가 1141건(24.3%)을 차지했다.

이는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시행을 앞두고, 새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기대감 등이 맞물려 '지금 사지 않으면 더 오른다'는 불안 심리가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대책 시행 이후 시장이 빠르게 냉각되면서, 발표 후 2주간(6월27일∼7월10일) 거래량은 1312건, 이 중 최고가 거래는 300건으로 급감했다.

최고가 거래량은 대책 이전보다 74% 감소한 것이다. 다만 전체 거래에서 최고가가 차지하는 비중은 대책 발표 이전의 24.3%와 비교해 1.4% 포인트 줄어든 22.9%로 나타났다. 전체 거래량은 대책 이전보다 72% 급갑했다.

전체 거래량이 줄어든 비율 정도로 최고가 거래량도 줄어든 것이다. 정부의 강력한 대책으로 거래 규모는 크게 줄어들며 향후 추이를 지켜보는 모양새다.

대책 발표 전 2주간 최고가 거래가 139건으로 가장 많았던 성동구는 이후 22건으로 84% 감소했고, 마포구는 같은 기간 87%가량 줄어든 18건으로 나타났다.

강동구는 발표 이후 최고가 거래량이 23건으로 80% 줄었고, 강남구도 41건으로 63% 감소했다. 이밖에 동작구(85건→15건), 영등포구(82건→18건), 광진구(50건→16건), 강서구(34건→16건), 동대문구(30건→4건) 등도 최고가 거래가 크게 줄었다.

직방 관계자는 "아직 거래량만으로 시장 흐름을 단정하기에는 이르지만 서울·수도권 주택시장의 전반적 분위기는 짙은 관망세에 접어든 모습"이라며 "규제 강도가 높아진 서울 강남권이나 정비사업 중심지 수요가 상대적으로 덜 규제된 지역으로 일부 분산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080 건 - 1 페이지